![]() |
||
| ▲ 여론조사결과 유정복 전 안전행정부 장관(좌)과 송영길 현 인천시장(우)이 인천시장선거에서 양자대결할 경우 지지율 차이는 0.1%로 초박빙 접전 양상이다. <사진=뉴시스> | ||
0.1%로 승부가 갈릴 수 있다. 6월 지방선거에서 서울과 인천, 부산이 초접전 양상이다. 누구도 승패를 예측하기 어려운 혼전이다. 매일경제신문과 MBN은 공동으로 실시한 6월 지방선거 주요 단체장 여론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이 여론조사에서 서울시장과 인천시장, 부산시장 양자대결 결과가 박빙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이 여전히 여당의 세 후보를 모두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몽준 의원과 격차는 크지 않았다. 새누리당 후보 적합도에서 정 의원은 36.3%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김 전 총리는 19.7%, 이 의원은 6.3%에 그쳤다.
박 시장과 정 의원이 양자대결을 벌일 경우 지지율은 47.1% 대 40.7%였다. 박 시장이 김황식 전 총리와 대결할 경우 50.0% 대 32.0%, 이혜훈 의원과 대결하면 53.3% 대 24.5%인 것과 비교해 간극이 좁다.
특히 지방선거에서 투표를 할 것이라고 밝힌 적극투표층을 대상으로 하면 정 의원의 지지율이 47.2%로 박 시장의 44.6%를 오히려 앞서고 있다. 박 시장이 우세하다고 보기 어려운 이유다. 정당지지율 역시 새누리당 41.6%, 새정치민주연합 33.5%로 여당이 앞섰다.
오차범위 내 접전은 인천시장 조사도 마찬가지다. 인천의 경우 새누리당 후보로 유정복 전 안전행정부 장관과 안상수 전 인천시장이 뛰고 있다. 이 중 유 전 장관과 송영길 인천시장이 양자대결을 펼칠 경우 유 전 장관 지지율이 39.2%, 송 시장 지지율은 39.1%로 거의 같다. 송 시장과 안 전 시장의 양자대결 결과는 47.4% 대 30.8%로 나타났다.
부산도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의 거취에 따라 박빙 승부를 예고했다. 오 전 장관이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으로 출마할 경우보다 무소속으로 출마할 경우 지지율이 더 높았다.
오 전 장관이 무소속으로 출마해 권철현 전 주일대사와 양자대결을 벌일 경우 오 전 장관의 지지율은 39.3%, 권 전 대사의 지지율은 40.0%로 조사됐다. 오 전 장관이 무소속 후보, 서병수 의원이 새누리당 후보로 나설 경우 오 전 장관 43.1%, 서 의원 36.7%로 나타났다.
오 전 장관이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으로 출마할 경우 권 전 대사에 36.3% 대 43.5%, 서 의원에 36.9% 대 42.6%로 다소 뒤지는 결과가 나와 오 전 장관이 새정치민주연합의 간판을 달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역별 유권자 600명을 대상으로 서울·경기·인천·부산·충남·충북의 6개 시도에서 총 3,6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4.0%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크라운해태홀딩스 이사회 구성 '후진적', 의장 겸직 윤석빈 ESG 평가 낙제점 대응 시급하다 |
| 윤영달 가족회사 '두라푸드'로 크라운해태 승계 끝냈지만, '편법승계' '일감 몰아주기' 주홍글씨 어떻게 |
| 신정훈 해태제과식품 성과로 장인 윤영달 신임 두텁지만, 윤석빈 크라운해태 승계 뒤 위상 주목 |
| 두나무 주식교환으로 네이버파이낸셜 자회사 된다, 26일 이사회 의결 예상 |
| 서울시 우이신설 연장선 착공식 개최, 동북권 교통 불편 해소 기대 |
| 금감원장 이찬진 키움증권 본사 방문, "모험자본 공급 속도와 실효성 높여야" |
| [오늘의 주목주] '경영권 분쟁' 고려아연 4%대 약세, 코스닥 펩트론은 15%대 급락 |
| 한화오션 미국법인 유상증자에 5020억 넣기로, 한화필리조선소 1427억 증자에도 참여.. |
| 민주당 예결위원 입장문 내놔, "국힘 미국 투자·지역사랑상품권·AI 예산 무분별 삭감" |
| '스타필드 10년' 신세계프라퍼티 그룹 내 존재감 우뚝, 임영록 지역상권 공략도 본격화 |
| HDC현대산업개발 부산 요트경기장 재개발 착공, 해양 레저 대표 건물로 조성 |
| 인도 증시 높은 유동성과 매출 성장률에 기업가치 '프리미엄' 붙어, LG전자 사례 부각 |
| SK스퀘어 새 기업가치 제고 계획, "3년 내 순자산가치 할인율 30% 이하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