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의 사임 의사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16일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의 판단을 존중한다”며 “문 대통령은 중앙선관위의 판단 직후 사의를 표명한 김 원장의 사표를 수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국민과 약속을 한 만큼 신속하게 절차를 밟는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13일 “김 원장의 과거 국회의원 시절 문제가 되고 있는 의혹들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위법이라는 객관적 판정이 있으면 사임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청와대가 김 원장과 관련해 질의한 사항 가운데 김 원장의 ‘셀프후원’ 의혹과 관련해 “종래 범위를 벗어난 위법”으로 판단했다.
김 원장은 19대 국회 임기종료를 앞둔 2016년 5월19일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전신) 의원 모임인 ‘더좋은미래’에 5천만 원을 한꺼번에 계좌이체했다.
김 원장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의 위법 판단이 나온 직후 곧바로
문재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김 원장은 야당의 사퇴 압박 속에서도 꿋꿋이 금융감독원장으로 행보를 이어왔지만 더 이상 문 대통령에게 정치적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한 결정으로 보인다.
김 원장이 3월30일 임명된 지 보름여 만에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역대 최단기간 임기를 지낸 금감원장이라는 ‘불명예’를
최흥식 전 원장으로부터 이어받게 됐다.
최흥식 전 금융감독원장은 최초의 민간출신 금융감독원장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KEB하나은행 채용비리에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임기 6개월여 만에 사임했다.
금융개혁의 선봉장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했던 인사들이 잇달아 개인적 비리 등으로 줄줄이 낙마하면서 청와대의 금융개혁 의지도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말도 나온다.
김 원장이 금감원장으로 자격이 있다면서 야당의 사퇴공세를 ‘정치공세’로 간주했던 더불어민주당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김 원장의 인사검증을 했던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등을 겨냥해 공세를 쏟아냈다.
권성주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인사참사를 일으킨 조 수석은 사퇴하고 국민과 기싸움을 벌인 문 대통령은 사과하라”고 말했다.
최경환 민주평화당 대변인은 “김 원장 임명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했던 조 수석과 청와대 민정라인은 책임져야 한다”며 “선관위 결정으로 금감원장을 사퇴하게 만드는 상황까지 몰고 온 청와대 인사 라인과 민정 라인의 총사퇴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