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김기남, 삼성전자 낸드플래시 불안한 1위

백설희 기자 flyhighssul@businesspost.co.kr 2014-11-19 13:18:5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세계 낸드플래시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이 30% 아래로 떨어졌다.

도시바가 삼성전자와의 점유율 격차를 10% 미만으로 좁히며 삼성전자를 추격하고 있다.

  김기남, 삼성전자 낸드플래시 불안한 1위  
▲ 김기남 삼성전자 반도체 총괄사장
19일 반도체 전자상거래사이트 디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삼성전자의 낸드플래시 매출은 24억5700만 달러로 직전분기보다 8.2% 늘었다.

하지만 시장점유율은 29.7%로 30.8%를 기록했던 2분기보다 1.1%포인트 떨어졌다.

낸드플래시는 D램과 같은 메모리 반도체의 일종으로 저장단위인 셀을 수직으로 쌓아 만든다.

휘발성 메모리 반도체인 D램과 달리 전원을 꺼도 정보가 지워지지 않아 모바일 기기, 디지털카메라,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낸드플래시 시장점유율이 30% 밑으로 떨어진 것은 2012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당시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27.6%였다.

삼성전자는 시장점유율이 30% 아래로 떨어졌지만 3분기에 낸드플래시 부문에서 1위를 유지했다.

도시바가 22.6%의 점유율로 2위를, 샌드디스크가 18,8%로 3위를, 마이크론이 12.2%로 4위를 각각 차지했다.

SK하이닉스는 1년 만에 두 자릿수 점유율인 10.3%를 기록해 5위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D램시장에서 40% 넘는 점유율로 압도적 1위를 달리고 있으나 낸드플래시시장에서 만큼은 2위 업체인 도시바의 추격을 받고 있다.

도시바는 1987년 낸드플래시를 최초로 개발했는데 3분기에 매출을 23.7% 끌어올리며 약진했다. 도시바는 그동안 10% 넘게 벌어지던 삼성전자와 시장점유율 격차를 7%포인트대로 좁히는 데 성공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모바일시장의 열기와 늘어난 SSD 수요가 도시바의 매출증대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했다.

디램익스체인지는 삼성전자가 내년부터 중국 시안공장에서 V-낸드를 본격적으로 양산하면 경쟁력이 강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
 

최신기사

[데스크리포트 9월] '잇단 사망사고' 포스코이앤씨 면허 취소 벗어나면 '걱정 끝'일까
[당신과 나의 마음] 자책에서 성찰로 나아가기
LG화학 재무위기 다급하다, CFO 차동석 LG에너지솔루션 지분 일부 매각 언제 꺼낼까
[씨저널] LG화학 석유화학 공급과잉 대비했는데, 신학철 '꾀 있는 토끼 굴 3개 파놓..
위기에 강했던 신학철 LG화학 비주력 사업 빠르게 매각, '구광모의 안목' 압박도 크다
'트럼프 효과'에 웃지도 울지도 못한 모나미, 송하경 '대표 문구 기업' 좋지만 뷰티 ..
[채널Who] 스트래티지 마이클 세일러 끝없는 베팅, 비트코인 '빚투' 성공할까
쿠팡 기프트카드 '카카오톡 선물하기' 입점, 수백만 개 상품부터 배달음식까지
국힘 장동혁 대표 체제 사무총장으로 정희용 내정, 정책위의장에 김도읍
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 특위 "특별재판부 포함 내란특별법 도입 검토"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