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이 육군개혁에 시동을 걸고 있다.
공관병 갑횡포를 계기로 국가적 관심 대상으로 떠오른 권위주의적 군대 조직문화와 군인권문제를 개선하는 것부터 시작했다.
|
![참모총장 김용우, 별넷 장군들과 육군 '적폐청산' 시작]() |
|
▲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이 14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15혼성비행단 회의실에서 새로 취임한 육군 4성 장군들과 긴급회의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
김 총장은 14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15혼성비행단 회의실에서 새로 취임한 육군 4성 장군들과 올바른 지휘권 행사를 위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현재 군에 대한 국민의 불신은 군 장성들이 부지불식간에 부하들을 존엄한 인격체로 인식하지 못한 것에서부터 초래됐다"며 “최고위지휘관부터 부하들의 인격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군 조직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5가지 훈(訓)을 제시하고 4성 장군들부터 솔선하여 실천해달라고 당부했다.
5가지 훈은 △모든 전우의 인격과 인명을 자신의 몸처럼 아끼고 존중할 것 △주어진 권한과 영향력은 오로지 공익만을 위해 사용할 것 △누리는 것이 아닌 사명을 다하는 자세로 봉사할 것 △출신·지역·학연·종교·성별 등으로 차별하지 않을 것 △언제든 대의를 위해 책임을 다하는 자세를 견지할 것 등이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군 조직문화를 바꾸기 위한 다양한 의견들을 나눴다.
육군은 이날 제시된 의견들을 종합해 장병 인권개선 관련 국방부 후속대책과 연계한 육군 추진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육군 대장들이 특정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긴급회의를 여는 것은 이례적이다. 그만큼 김 총장이 권위주의적 군 문화를 개선하는 데 강한 의지를 갖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박찬주 전 육군 제2작전사령관의 공관병 갑횡포 사건이 터지면서 군 개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송영무 국방부 장관 등도 군 개혁의 필요성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어 김 총장이 군 문화를 비롯한 육군개혁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도 김 총장을 승진발령하면서 “김 총장은 책임감이 강하고 상하로부터 신망이 두터운 장군”이라며 “육군의 개혁을 주도할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김 총장도 11일 취임식에서 “지금 육군은 강도 높은 변화를 요구받고 있으며 상비병력의 대규모 조정과 군 구조를 단기간에 개선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육군이 국방개혁의 능동적 주체가 돼 환골탈태하는 수준의 국방개혁으로 국가방위 중심군 역할에 걸맞은 능력을 확충하고 미래 육군의 기틀을 마련하자”고 당부했다.
김 총장은 전남 장성출신으로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9년 육군사관학교 39기로 입학해 1983년 임관했다.
합참 전략기획본부장, 1군단장, 합참 신연합방위추진단장, 합참 민군작전부장 등을 역임한 국방정책과 기획분야 전문가로 손꼽힌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