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항공우주산업이 개발한 차세대 중형위성 3호기. <한국항공우주산업> |
[비즈니스포스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7일 회사가 총괄 주관해 개발한 차세대 중형위성 3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1시13분 3호 위성을 탑재한 누리호가 발사됐다. 이어 1시55분 지상기지국과 첫 교신을 통해 3호 위성의 정상작동이 확인됐다.
3호 위성은 탑재체 3개를 활용해 △지구 오로라 및 대기관 관측(연구 기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 플라즈마-자기장 측정을 통한 전리권 교란현상 관측(KAIST) △바이오 3D 프린팅 기반 줄기세포 3차원 분화배양 검증(한림대학교)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3호 위성은 기존 1호기의 표준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KAI는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을 통해 확보한 중형위성 표준 플랫폼의 수출을 추진할 예정이다.
회사는 수출을 염두에 두고 모든 부품을 미국 정부의 ‘국제무기규정(ITAR)’을 적용받지 않도록 개발했으며, 추진계 3종도 국산화했다고 설명했다.
KAI는 이번 누리호 4차 발사에서 중형위성 3호뿐만 아니라 발사체의 핵심부품인 1단 추진체 제작과 발사체 총조립까지 수행했다.
앞서 회사는 지난해 7월 사천 본사 우주센터에 민간 최초로 4톤 톤급 대형 ‘열진공 챔버’를 조성해 소형부터 대형 위성까지 동시 시험 체계기반을 마련했다.
또 향후 전자파 시험시설을 확보해 설계부터 제작, 환경시험에 이르는 위성 개발 전체 프로세스를 한곳에서 진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