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조사하고 있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는 다음달 4~5일 서울 글로벌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중간 조사결과 발표 성격의 공청회를 연다고 19일 밝혔다.
공청회는 12단계로 이뤄진 항공기 사고 조사절차 가운데 8단계 과정으로 지금까지 조사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기술적 검증을 하는 자리다.
▲ 지난해 12월29일 오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사고 현장. <연합뉴스>
4일에는 조류와 방위각시설을 주제로 한 세션이, 5일에는 기체(엔진)와 운항을 주제로 한 세션이 진행된다. 각 세션은 조사관이 조사 내용을 설명하고 분야별 전문가와 관계자 등의 질의응답 순서로 이뤄진다.
항철위는 공청회를 통해 그동안 제기된 기술적 의문과 사실관계를 공개적으로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 등을 발표 자료에 포함해 사고조사와 직접 관련된 핵심 근거들을 최대한 공개하기로 했다.
다만 항철위 조사를 신뢰할 수 없다며 조사 중단을 요구하고 있는 유가족단체는 강하게 반발했다.
김유진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사고 책임을 져야 하는 국토교통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않은 항철위의 ‘셀프 조사’는 단 한 줄도 믿기 힘들다”며 “항철위가 국토부에서 독립해 투명하고 공정한 조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때까지 공청회, 중간보고 등 일체의 조사 활동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청회를 마치면 곧바로 최종보고서 초안을 작성하게 되는 등 최종 단계로 가게 된다”며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졸속 마무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유가족들은 최선을 다해 막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