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글과컴퓨터는 자체 인공지능(AI) 기반 하이브리드 근무환경 기술이 국제연합(UN) 산하 정보통신기술(ICT) 표준화 전문기구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국제표준(ITU-T F.746.19)으로 최종 승인받았다고 4일 밝혔다.
ITU는 전 세계 194개 회원국과 주요 기업, 연구기관이 참여해 통신, 미디어, AI 등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 표준을 제정하는 정보통신기술(ICT) 표준화 국제기구다.
▲ 4일 한글과컴퓨터는 자체 인공지능(AI) 기반 하이브리드 근무환경 기술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한글과컴퓨터>
ITU의 표준 채택은 해당 기술의 글로벌 공신력과 산업적 활용 가치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이번에 승인된 표준은 ‘하이브리드 근무환경에서의 대화 및 협업 방식 요구사항’을 다룬다.
원격과 대면 근무가 혼재된 환경에서 AI 기술을 활용해 소통 품질과 협업 효율성을 높이는 구체적 방법론을 정의한 것이 주된 내용이다.
한컴은 30년 넘게 축적해 온 문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번 표준에 △AI 기반 자동 회의록 작성 △참여자의 감정·의도를 반영하는 실시간 문서 공동 편집 기능 등 핵심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데 기여했다.
김연수 한글과컴퓨터 대표는 “이번 국제표준 승인은 한컴이 축적해 온 문서 기술이 AI 시대를 맞아 글로벌 협업 기술 표준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앞으로도 정부 및 국내 연구기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지속적 표준화 활동 참여를 통해 글로벌 기술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며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