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메인해양대학교 학생들이 8월26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 필리조선소를 방문해 국가안보다목적선박(NSMV) '메인호'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노동부가 현지 노동자를 한국과 일본 등에 파견해 조선업 기술을 교육시키는 프로그램을 위해 한화로 110억 원 가량의 자금을 조성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중국을 염두에 두고 조선업 경쟁력 회복을 노리고 있는데 그 일환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노동부는 4일(현지시각) 조선업 숙련 인력 양성을 위해 4년에 걸쳐 800만 달러(약 111억 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폭스뉴스는 노동부가 미국을 비롯해 캐나다와 핀란드, 이탈리아, 일본 및 한국 등의 훈련 시설이나 조선소에 노동자를 보내 기술을 익히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지원 직종은 용접공과 조선공, 보일러공, 전기 기술자 등이다.
노동부는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와 3위 조선 강국인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여러 동맹국에서 노동자가 고급 조선 기술을 배우도록 협력 체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는 공급망과 기술 주권, 해군력 등에 중요하다고 판단해 조선업 부흥 정책을 펴고 있다.
미국이 중국을 비롯한 경쟁국에 조선 분야에서 크게 뒤처져 있기 때문이다.
미국 씽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 따르면 중국은 전 세계 조선업의 50% 이상을 점유한다. 이어 한국과 일본은 29%와 13% 비율을 보였다. 미국은 0.1%에 불과하다.
이에 미국은 법안 개정과 자금 지원 등 전례 없는 정책 지원을 준비하고 있는데 노동자 교육도 한국과 일본 등에서 도움을 받으려는 것이다.
한국 정부도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뜻의 ‘마스가(MASGA)’ 구호로 트럼프 정부의 요청에 화답했다.
한·미 관세 협상에 따라 한국 정부가 1500억 달러(약 원) 규모의 조선업 협력 펀드를 조성하고 한화오션과 HD현대, 삼성중공업 등 기업이 대미 진출을 늘리는 것도 이러한 움직임의 연장선이라 볼 수 있다.
로리 차베스-디레머 미국 노동부 장관은 폭스뉴스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능가하고 국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조선 인력을 준비시키고 있다”며 “동맹국과 협력해 조선 분야 견습 프로그램을 강화해서 미국이 다시 해양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