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복규 한국산업은행 수석부행장, 프랭크 브루노 서버러스 캐피탈 최고경영자,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등이 2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윌라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한미 조선산업 공동 투자 프로그램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식을 마치고 사진을 찍고 있다. < HD현대 > |
[비즈니스포스트] HD현대는 현지시각 25일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서버러스 캐피탈(Cerberus Capital), 한국산업은행 등과 '한미 조선산업 공동 투자 프로그램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프랭크 브루노 서버러스캐피탈 최고경영자, 김복규 한국산업은행 수석부행장이 참석했다.
양해각서에 따른 투자 프로그램은 미국 조선업, 해양 물류 인프라, 첨단 해양 기술을 포함해 미국과 동맹국의 해양 역량을 재건·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투자 규모는 수십억 달러며, 주요 투자 분야는 △미국 조선소 인수·현대화 △공급망 강화를 위한 기자재 업체 투자 △자율운항·AI 등 첨단조선기술 개발 등이다.
HD현대는 ‘앵커(anchor) 투자자’이자 기술자문사로서 참여해 투자 프로그램을 뒷받침한다. 앵커 투자자는 대규모 투자 구조에서 초기 자본을 제공하고, 투자 정책과 경영에 핵심 역할을 하는 주요 투자자를 일컫는다.
특히 조선·해양 분야에서 축적한 산업 전문성을 바탕으로 투자 대상의 기술적 타당성과 경쟁력, 성장 가능성을 검토해 투자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버러스 캐피탈은 투자 프로그램의 운용사로 투자 전략 수립과 관리 전반을 책임진다.
한국산업은행은 한국 투자자의 참여구조를 설계하고, 모집을 지원하는 등 투자 프로그램의 운용을 돕는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한·미 정상회담 이후 조선산업을 매개로 한-미 양국의 협력 체제가 실질적 실행으로 이어진 첫 사례다.
HD현대는 조선 분야에서 양국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협력 모델을 마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은 "서버러스 캐피탈과 협력이 동맹국인 미국의 조선업 재건을 목표로 하는 마스가에 실질적 도움을 제공하면서, 한국 조선업계에도 새로운 시장과 성장 기회를 열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프랭크 브루노 서버러스 캐피탈 최고경영자는 “해양산업 재건을 위해 힘을 합친 트럼프 대통령 및 미 의회의 초당적 노력에 감사하다”며 “'마스가'에 대한 한국의 과감한 투자 및 지원에도 깊은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