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은행업계가 교육세율 인상과 고액의 과징금 부과 가능성 등 문제를 마주하고 있음에도 투자매력도가 여전하다고 분석됐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2일 “은행들이 잘 대응한다면 최근 회자되는 각종 사안들이 실적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은행 주주환원정책은 흔들림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 교육세율 인상과 과징금 부담이 금융지주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사진은 서울 시내 설치된 ATM기기. <연합뉴스> |
은행업종에 대한 투자의견은 ‘비중확대’를 유지했다.
최근 금융권 반발이 거센 교육세 인상은 금융지주 차원에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분석됐다.
백 연구원은 “초대형금융사 위주로 증세 영향을 받아 비은행 자회사 영향은 은행 자회사와 비교해 적다”며 “비율 관점에서 은행(지주)가 받을 재무적 영향은 은행(별도) 기준 영향보다 작다”고 말했다.
교육세율 개편에 따른 세금 증가분은 전 금융권 기준 약 1조3천억 원이다. 이 가운데 5대 은행의 부담은 4758억 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다만 ‘대출금리 체계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모범규준’과 은행법 개정안을 고려하면 은행에 대한 재무적 영향이 축소될 여지도 크다고 여겨졌다.
부동산 담보대출비율(LTV) 담합 관련,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 관련 과징금 부담도 상한선에 이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부동산 LTV 담합 사안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ELS 불완전판매 사안은 금융당국에서 다룬다.
백 연구원은 “불완전판매 사안은 은행들이 지난해 선제적으로 보상한 점을 감안해 과징금이 크게 감경될 가능성이 높다”며 “공정위 사안은 예단하기 어렵지만 심사보고서상 적시된 과징금이 그대로 부과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