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애 기자 grape@businesspost.co.kr2025-08-12 16:42:46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서희건설이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인 김건희씨에 2022년 반클리프 아펠 목걸이 상납과 윤석열 전 대통령 비선캠프에 다한 장소 제공 의혹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은 핵심 사업인 지역주택사업 관련한 정부로부터 전수조사를 받고 있는 데다 임원 횡령 혐의로 주식거래까지 정지되면서 경영 위기가 더욱 심각해진 상황과 마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은 12일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씨에게 2022년 반클리프 아펠 목걸이를 전달했다는 내용의 자수서를 김건희 특검팀에 전달했다고 김건희 특검팀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김건희 특검팀 소속 오정희 특검보는 12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서희건설 측은 윤석열 전 대통령 나토 순방 당시 김건희씨가 착용한 반클리프 아펠 목걸이를 제공한 사실을 인정하는 취지의 자수서를 특검에 제출했다"고 말했다.
서희건설은 최근 김건희 특검팀으로부터 목걸이 상납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을 받으면서 윤석열 정부와의 유착 관계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의심을 샀다.
김건희씨는 2022년 6월 나토 순방 당시 6천만 원 상당의 ‘반클리프 아펠’ 목걸이를 착용하면서 재산 신고를 누락했다는 논란이 일었다.
특검팀은 서희건설이 2022년 대선 직후 같은 모델을 구매한 이력을 확인하면서 서희건설이 김건희 여사에게 해당 목걸이를 줬을 가능성을 의심하면서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특검팀은 해당 목걸이가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의 맏사위인 박성근 전 검사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 자리에 오른 데 대한 대가였을 가능성 또한 의심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서희건설는 본사 건물 일부가 2022년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의 비공식 불법 대선 캠프로 사용됐다는 의혹도 함께 받는다.
또 서희건설은 한국거래소로부터 주식거래 정지와 함께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여부를 받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전날 "서희건설의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발생일인 8월11일로부터 영업일 기준 15일 이내에 실질심사 대상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공시했다.
거래소의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검토는 같은 날 서희건설이 현직 임원의 횡령 등의 혐의로 공소제기된 사실을 확인하면서 시작됐다.
서희건설은 "한 임원이 13억7500억 원을 횡령한 혐의로 지난 7월31일 기소됐다"며 "서희건설은 이 건과 관련해 적법한 절차에 따라 조치를 취하고 관련기관의 조사에 적극 협조할 예정"이라고 공시했다.
서희건설은 향후 실질심사 결과에 따라 상장유지를 통해 거래가 재개될 수도 있지만 상장기업으로서 신뢰성에 크게 손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
▲ 서희건설은 지역주택조합사업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빠르게 높였다. <연합뉴스>
앞서 서희건설은 핵심 사업인 지역주택조합사업에서 피해를 본 조합원들의 거센 항의로 정부까지 지역주택조합 전수조사에 나서면서 사업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예고됐다.
이 회장이 지난 과거와 관련해 풀어나가야 할 문제가 더욱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서희건설의 지역주택조합사업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3년 84.7%, 2024년 81.0%, 올해 3월은 86.0%로 압도적이다. 서희건설은 지역주택조합사업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빠르게 높였다.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1분기 13.4%에서 올해 1분기 17.7%로, 부채비율은 73.2%에서 56.2%로 크게 개선됐다. 이는 건설업 전반이 불황을 겪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전지훈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특히 지역주택조합사업에서 제고된 시장지위를 바탕으로 사업성이 양호한 현장을 확보하고 축적된 시공경험을 통해 원가를 절감한 점이 수익성 제고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해 타 건설사 대비 상대적으로 우수한 영업이익률을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희건설에 주택건설을 맡긴 지역주택조합원들은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이던 시절 전국 곳곳 유세현장 및 대담 자리에서 공사비 인상에 따른 분담금 확대 피해를 토로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6월25일 광주전남 타운홀미팅에서도 "유세현장에서도 특정 건설사가 지역주택조합 사업에서 압도적으로 비중이 높더라"라며 "제가 지시를 해서 대통령실에서 지역주택조합 실태조사와 대책을 검토하고 있으니 기다려달라"고 말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7월부터 지역주택조합 사업을 대상으로 관계기관 합동 특별점검에 착수했고 이번달 말 점검을 마친다는 계획을 세웠다.
국토교통부는 특별합동점검 결과 불법 및 부당 행위가 적발되면 관련 법령에 따라 시정요구, 과태료 부과 등의 조치를 취하고 필요 시 수사의뢰 등 사법 조치도 추진하기로 했다. 전국 지역주택조합사업 논란의 중심에 선 서희건설 역시 이번 합동점검 결과 정부의 조치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이 많다.
서희건설의 창업자인 이봉관 회장은 1982년 설립된 운송회사 영대운수를 1994년 운수업에서 건설업으로 업종을 바꾼 뒤 서희건설로 사명을 바꿨다.
서희건설의 ‘서희’는 세 명의 ‘희’라는 뜻으로 이봉관 회장의 세 딸들의 이름(은희 성희 도희)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민간건축부문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다가 2008년 지역주택사업에 뛰어들어 틈새시장을 공략했다. 지역주택사업은 사업 특성상 성공률이 낮아 건설사들이 꺼리는 분야였다.
서희건설은 전국 지역주택조합 단지 70여 곳, 10만 여 세대 사업을 성사시켜 지역주택사업시장에서 독보적 입지를 구축했다.
서희건설은 2025년 시공능력평가에서 16위를 기록했다. 2020년 33위에서 2021년 23위, 2022년 및 2023년 21위에서 지난해 18위로 꾸준히 상승했다.
특검 수사를 통해 제기된 의혹과 관련해 서희건설 측에 입장을 묻기 위해 수 차례 연락을 시도했으나 연결이 되지 않았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