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위원회(금융위)가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시스템 ‘실손24’ 관련 중간 상황과 앞으로의 계획을 점검했다.
금융위는 7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2단계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를 앞두고 금융감독원, 보험개발원,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등 유관기관과 점검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 금융위원회가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확대를 앞두고 홍보를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
지난해 10월25일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를 대상으로 우선 시행된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는 올해 10월25일부터 의원 및 약국(2단계, 약 9만6천 개)로 확대 시행된다.
5일 기준 참여하고 있는 요양기관은 모두 합쳐 6757개로 집계됐다. 병원 1045개, 보건소 3564개, 의원 861개, 약국 1287개로 구성됐다. 참여기관 개수 기준 1단계 참여율은 약 59.1%다.
2단계 참여 대상인 의원 및 약국은 아직 개정 보험업법 시행 이전이지만 참여 의사가 있으면 선제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지원한다. 2단계 참여율은 약 2.2%다.
금융당국은 유관기관과 함께 의사협회, 약사회 등 의약단체 및 전자의무기록처리(EMR) 업체 등과 지원 방안을 논의해 왔다.
보험업계와 유관기관은 청구 전산화에 참여한 요양기관 및 EMR업체에 서버비, 시스템 개발비, 인센티브 성격 확산비, 유지보수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수수료 요구 등 의견차이가 있는 부분에 관해서는 타협점을 찾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그 밖에도 참여 병원을 검색할 수 있게 지도 플랫폼과 연계하고 미참여 요양기관에 대해 소비자가 참여를 요청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등 서비스를 개선해 왔다고 덧붙였다.
또 소비자단체 ‘소비자와함께’가 실시한 설문조사 기준 청구전산화 이용 소비자와 병원 모두 시스템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는 “청구 전산화 관련 국민과 의료계 인식을 높이고 더 많은 요양기관이 참여할 수 있도록 11일부터 대국민 홍보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어 “청구 전산화가 확대 및 안착될 수 있도록 참여 요양기관 등에 대한 정책금융기관 보증료 감면, 실손24로 청구한 소비자 대상 네이버페이 포인트 지급 등 여러 유인장치 실시를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