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살림연구소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펴낸 보고서에서 “2026년도 예산안 편성지침의 재정여건(현황, 세입, 세출) 진단, 예산안 편성방향(4대 투자중점)의 내용은 대폭 수정 내지 추가돼야 이재명 정부의 예산안이라 할 수 있다”고 짚었다.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아동수당 확대, 기초생활 생계급여 상향 등 임기 동안 약 210조원 규모의 재정 소요가 필요한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국정과제들 가운데 신속추진 과제 10가지를 추리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데 2026년도 예산안에 반영하려 할 것으로 관측된다.
조승래 국정기획위원회 대변인은 지난 6월18일 언론 브리핑에서 “예산 편성 프로세스 상 재정전략회의는 늦어도 5월에 개최되는데 이번에는 대통령 파면과 선거 때문에 미뤄지게 됐다”며 “(부처별로) 예산 지침을 내려보내는 주기와 ‘미스 매치’가 됐는데 주기를 맞추기 위해 국정위도 신속과제를 분류해 (예산 편성과) 속도 맞추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러한 배경을 고려할 때 기재부 예산실과 국고국, 재정관리국 등을 관리하며 예산 편성을 총괄하는 임기근 기재부 2차관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임 차관은 이재명 정부가 역점을 두는 정책 분야에 전략적으로 예산을 배분하는 고도의 조정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이 대통령은 구윤철 기재부 장관 후보자를 지명하기 전 두 명의 기재부 차관 인사를 단행했는데 이형일 기재부 1차관은 ‘정책통’, 임 차관은 ‘예산통’으로 평가된다.
임 차관은 기재부 예산정책과장, 복지예산과장, 지역예산과장, 예산총괄심의관 등을 거쳐 예산 심사 및 편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탁월한 실무 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다.
임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내년도 예산안 지출 구조조정의 기본 방향과 추진방안 회의에 참석한 관계부처 담당자들에게 “새 정부의 국정과제 등 꼭 필요한 분야에는 충분한 재원이 뒷받침될 수 있도록 내년도 예산안 편성 시 강도 높은 지출 효율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