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한국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산업 부문에 지나치게 많은 투자를 하고 있어 에너지 전환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은 '2024 화석연료금융백서'에서 집계된 화석연료 금융 규모를 나타낸 표.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
[비즈니스포스트] 한국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산업에 지나치게 많은 금액을 투자해 에너지 전환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6일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의원실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24 화석연료금융백서'를 공동 발간했다.
이번 백서를 보면 국내 금융기관이 보유한 화석연료 금융 규모는 약 173조7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여기에 보험까지 포함하면 규모는 372조3천억 원까지 늘어난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상당액이 한국전력공사와 그 자회사에 집중된 구조가 문제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2025년부터 화석연료 발전 수요는 감소하고 재생에너지 수요는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한국에너지경제연구원 전망과 달리 실제 투자 흐름은 여전히 과거의 관성에 따라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국내 금융기관의 신규 실행액은 화석연료 부문이 32조8천억 원,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4조8천억 원으로 약 7배 격차를 보였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이는 글로벌 흐름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흐름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중국, 유럽연합 등 주요국들은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앞다퉈 확대해 현재 재생에너지 투자 규모가 약 2조330억 달러에 이른다.
화석연료 투자액은 1조198억 달러로 재생에너지 투자액이 약 1.7배 더 높다.
더 심각한 문제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금융이 성장세도 꺾기고 있다는 점이다. 2023년 기준 신규 실행액은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전체 규모에서 민간금융은 17조7천억 원으로 72.2%, 공적금융이 6조8천억 원으로 27.8%를 차지해 민간금융이 주도하고 있다. 이같은 규모는 에너지 전환을 이끌어 내기에는 절대적 자금 규모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자금 유입의 절대량이 충분하지 않아 에너지 전환 속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이러한 구조적 한계는 국가 경제의 지속가능성과 글로벌 경쟁력 측면에서도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어 보다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금융시장 활성화 방안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