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에너지부가 공급 과잉 상황에도 미시간주에 위치한 J.H 캠벨 석탄발전소를 연장 운영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사진은 미국 미시간주 오타와 카운티에 위치한 J.H 캠벨 발전소.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정부가 전력 공급 과잉 상황에도 석탄발전소 수명을 연장하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석탄 산업 부양책의 일환인 것으로 평가된다.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27일(현지시각) 원래 5월31일 부로 폐쇄가 계획됐던 미시간주 J.H 캠벨 석탄발전소 운영기간을 올해 8월 말까지 연장하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AP통신과 악시오스 등이 보도했다.
라이트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과거 전력 공급량 부족 전적과 여름철 수요 급증에 대비한 것"이라며 "지역 주민들이 이 중요한 전력 공급처를 잃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J.H 캠벨 석탄발전소 운영을 담당하는 민영 전력사는 '컨슈머스 에너지'이고 발전소에서 나오는 전력을 시민들에 공급하는 사업자는 '미드컨티넨트 인디펜던트 시스템 오퍼레이터(MISO)'다.
악시오스에 따르면 양사 모두 에너지부에 발전소 수명 연장을 요청하지 않았다.
미시간주 규제 당국은 이번 조치가 과잉대응이라며 반발했다.
댄 스크립스 미시간주 공공서비스위원회 위원장은 AP통신을 통해 "현재 미시간주는 전력 공급 과잉 상황"이라며 "미시간주나 MISO는 모두 에너지 비상사태 따위는 겪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컨슈머스 에너지는 이번에 석탄발전소를 폐쇄하면서 생긴 전력 공백을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메울 것으로 계획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가 이번 결정이 트럼프 대통령이 천명한 석탄산업 부양책의 일환인 것으로 보인다고 바라봤다.
타이슨 슬로컴 비영리단체 '퍼블릭 시티즌' 에너지 프로그램 디렉터는 악시오스를 통해 "에너지부가 주장한 에너지 비상사태에는 근거가 없다"며 "트럼프 정부는 비상사태시에 발생하는 권한을 남용해 정치에 활용하려 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은 석탄산업 활성화를 위한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석탄생산 확대, 석탄발전소 유해물질 배출기준 완화 등이 포함됐다.
행정명령 발표 직후 에너지부는 탄소포집 등 석탄 관련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2천억 달러(약 297조 원) 규모 자금 지원 프로그램도 수립했다.
미국 환경단체 시에라클럽도 발전소 가동 연장 명령을 비판했다.
시아레클럽은 공식성명을 통해 "석탄은 비싸고 시대에 뒤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주민 건강에 치명적"이라며 "컨슈머스 에너지가 내린 발전소 폐쇄 결정은 옳은 일이었다"고 지적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