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일반

미국 연구소 "한국 2030년대부터 태양광 발전이 가장 경제적, 원자력에 우위"

이근호 기자 leegh@businesspost.co.kr 2025-05-27 11:41:14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미국 연구소 "한국 2030년대부터 태양광 발전이 가장 경제적, 원자력에 우위"
▲ 제주도 감귤 폐원지에 설치한 태양광 발전 설비. <제주도>
[비즈니스포스트] 한국에서 태양광 발전이 다른 전력 발전원과 비교해 가장 높은 경제성을 확보할 것이라는 미국 국립연구소의 분석이 나왔다.

26일(현지시각) PV매거진은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 소속 연구진이 펴낸 논문을 인용해 “한국에서 2030년~2035년부터 비용 경쟁력이 가장 높아질 에너지원은 태양광”이라고 보도했다. 

연구진은 2030년부터 2050년까지 에너지원별 균등화 발전 비용(LCOE) 흐름을 추산한 결과를 근거로 이런 분석을 전했다.

균등화 발전 비용은 발전 설비를 운영하는 기간에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수치화한 지표로 전력 발전원의 경제성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연구진은 2030년 중반에 한국에서 태양광과 해상풍력을 포함한 재생에너지 발전에 필요한 비용이 2023년보다 최대 41% 낮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하고 발전 설비를 전력망에 연결하는 비용이 점차 감소할 것이라는 점이 근거로 제시됐다. 

반면 2023년부터 2035년 사이 기간 원자력 발전에 드는 비용은 LOCE 기준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사고 위험 및 사회적 비용을 반영한 결과다.

태양광은 2050년까지도 가장 경제성이 높은 에너지원 자리를 지킬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진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이 재생에너지에 우선순위를 두면 비용 효율성이 높은 저탄소 발전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는 미국 에너지부 산하 국립 연구소다. 이번 논문은 미국 사회과학 연구 네트워크(SSRN)에 게재됐다. 이근호 기자

최신기사

거래소 파멥신 상장폐지 결정, 29일부터 7거래일 동안 정리매매
검찰 태광그룹 전 회장 이호진 소환조사, 횡령·배임 혐의
하이브 SM엔터 보유주식 전량 중국 텐센트뮤직에 처분, 2433억 규모
이재명 HMM 본사 부산 이전 약속 재확인, "국민이 원하면 부산 이전 가능"
금감원 금융지주·은행 CEO 장기연임 문턱 높인다, "승계절차 기간 늘리고 주주통제 방..
신한투자 "대원미디어, '스위치2' 제외해도 이익 체력 튼튼해져"
HMM, 브라질 광산기업 발레와 6262억 규모 장기운송계약 체결
쿠팡 '육개장 대란' 이어 '참치 대란' 터져, 판매자 "쿠팡 측 전산오류 탓"
현대로템, 대장~홍대 광역전철 철도차량 1239억 규모 공급계약 체결
닛케이아시아 한국의 계엄·조기대선 논평, "한국 보수 통치 자격 없음 증명"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