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장과머니  가상화폐

비트코인 시세 '반감기 이후 상승폭' 역대 최저치, 1년 전 대비 43% 그쳐

김용원 기자 one@businesspost.co.kr 2025-04-24 13:58:0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비트코인 시세가 일반적으로 반감기 이후 큰 폭의 상승세를 보여 왔지만 최근 1년 동안의 흐름은 매우 부진한 수준이라는 분석이 제시됐다.

투자전문지 마켓워치는 24일 “비트코인이 마지막 반감기를 지난 뒤 1년이 흘렀다”며 “그러나 시장의 기대치와 달리 시세 상승에 큰 효과가 없었다”고 보도했다.
 
비트코인 시세 '반감기 이후 상승폭' 역대 최저치, 1년 전 대비 43% 그쳐
▲ 비트코인 시세가 2024년 반감기를 지난 뒤 1년 동안 역사상 최저 수준의 상승폭을 보였다는 분석이 나왔다. 비트코인 그래픽 이미지.

비트코인 반감기는 동일한 연산 과정으로 신규 채굴 가능한 가상화폐 물량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기 시작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이는 비트코인 희소성을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반감기 이후에는 시세가 크게 상승하는 흐름이 반복돼 왔다.

그러나 마켓워치는 지난해 4월 반감기 이후 가격 추세가 역사상 가장 부진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2012년 반감기 이후 1년에 걸친 비트코인 시세 상승폭은 7천 %, 2016년 이후에는 291%, 2020년 이후에는 541%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2024년 반감기가 지난 뒤 현재까지 1년 동안 비트코인 가격은 약 43% 오르는 데 그쳤다.

조사기관 카이코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을 비롯한 경제 불확실성을 비트코인 시세 상승 부진의 원인으로 분석했다.

가상화폐 시장이 이전보다 훨씬 안정적으로 자리잡으면서 변동성이 낮아졌다는 점도 배경으로 꼽혔다.

비트코인 가격 변동폭이 이전보다 크게 줄어들며 자연히 큰 폭의 시세 상승도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카이코는 “비트코인 시장이 성숙할수록 상승폭은 이전과 비교해 크게 제한될 수밖에 없다”며 “시장 전반에 안정성이 어느 정도 자리잡은 셈”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주요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9만2725달러 안팎에 오르내리고 있다. 김용원 기자

최신기사

토스뱅크 이자이익 케이뱅크 앞질렀는데 순이익은 밀려, 이은미 방책은 주택담보대출
[씨저널] 이은미 토스뱅크 실적으로 '여성 행장' 존재감, 권선주 유명순 강신숙 이어 ..
토스 비바리퍼블리카 나스닥 상장 의지 보이는 이승건, 이사회 후진성 해결 급선무
위대한상상 요기요 대표 사퇴 잦고 GS리테일도 발빼고, 권태섭·조형권 회복 악전고투
김명규 쿠팡이츠 퀵커머스 키우는 이유, '배민 견제' '수익모델 다양화' '라이더 확보..
배달의민족은 출혈경쟁 중, 김범석 수익성과 자영업자 상생 '딜레마' 해결할 수 있나
[씨저널] SK그룹 창업주 최종건과 동생 최종현 가족과 혼맥, 최태원 이혼소송 결과 주목
시흥 거북섬 대우건설 푸르지오 아파트 신축현장서 50대 하청 근로자 사망
미국 금리 인하 기대에 한국거래소 금 하루 거래량 1톤 넘어서 '사상 최대'
'10억 로또' 서울 잠실 르엘 분양서 청약 가점 만점통장 나와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