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기업일반

[Who Is ?] 태광그룹 잃어버린 10년 되찾을 수 있나, 이호진 경영복귀 가능성은

성현모 서지영 강윤이 lordsami@businesspost.co.kr 2024-11-06 08:30:0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채널Who] 이호진 태광그룹 전 회장은 2011년 횡령 배임혐의로 구속된 이후 무려 10년이 넘게 사법리스크를 이어온 인물이다. 

이호진 전 회장은 사법리스크가 불거지기 전까지만 해도 M&A의 귀재, 가장 성공한 오너 2세라는 평가를 받았던 인물이다. 

2004년 취임 후 석유화학, 섬유 중심의 사업을 미디어, 금융 분야로 확장시키면서 그룹을 대기업 반열에 올려놓은 주인공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전 회장의 오랜 사법리스크를 거치는 동안 그룹의 사업은 고전을 면치 못했고 한때 36위까지 올랐던 재계 순위는 2023년 기준 52위까지 밀려났다.

과연 태광그룹은 잃어버린 10년을 딛고 다시 상승곡선을 그려낼 수 있을까?

오너리스크의 중심에 있는 이호진 전 회장과 태광그룹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채널후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획·제작 : 성현모, 서지영, 강윤이 / 진행 : 윤연아]  

최신기사

한국도 뛰어든 '소버린 AI' 세금 낭비에 그치나, 미국 빅테크와 경쟁에 한계
삼성물산 롯데건설이 도시정비 경쟁 불붙일까, 개포우성4차 여의도대교에서 격돌 가능성
한화투자증권 인니 사업 본격화, '운용' 한두희서 '글로벌' 장병호로 세대교체
NH농협손보 산불과 폭염에 수익성 건전성 흔들, 송춘수 '소방수' 역할 시험대
기업은행 정권 교체 뒤 첫 정기인사에 쏠리는 눈, 미뤄지는 부행장 인선 촉각
HD현대마린엔진 그룹 편입 '1년' 검증은 끝났다, 강영 계열사 납품 증가로 실적 '탄..
중국 전기차 '출혈 경쟁' 시진핑도 손 쓰기 어렵다, 무리한 육성 정책 후폭풍
우리은행 정진완의 공격 경영, 자본비율 열세에도 중소기업 품고 기업금융 강화
녹색전환연구소 김병권 신임 소장 선임, "국민 삶과 현장 잇는 리더십 발휘할 것"
배당소득 분리과세 추진 이재명 정부, '증시부양' '부자감세' 균형잡기 과제
Cjournal

댓글 (1)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
태산태황
어디까지나 그룹내에서 주장하는 배임혐의일뿐 정작 태광에선 내역조차 공개를 못하고 있다.
이 행동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렇다. 김기유를 해고한 사유의 배임혐의조차 이 전 회장과 관련될 확률이 높다. 계속해서 하늘을 가리려는 태광그룹의 행동을 보면 기자들도 이미 다 알고있지않는가????정작 이 가능성을 알고도 무시하는 언론계에 나는 경멸하는 눈빛만을 보내게 되버린다
   (2024-11-06 13:1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