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풀무원이 이사회를 사외이사가 사내이사보다 많은 체제로 꾸려나가고 있다.
풀무원은 25일 이사회 9명 가운데 7명을 사외이사로 구성해 사외이사 비율이 비금융권 상장사 가운데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 풀무원이 이사회를 사외이사가 사내이사보다 더 많은 구조로 유지하고 있다. |
풀무원은 “경영진이 사외이사들을 설득하지 않고서는 안건이 이사회를 통과할 수 없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외이사 7명 가운데 여성은 3명이다. 이사회 내 비율이 43%로 비금융권 상장사 평균(21%)을 웃돈다.
풀무원은 이사회에 상법상 의무 설치 위원회인 감사위원회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이외에도 위원회 6개를 추가 설치했다.
6개 위원회는 총괄CEO후보추천위원회, 보상위원회, 사외이사평가위원회, 전략위원회, ESG위원회, 경영위원회 등이다.
풀무원에 따르면 자산 2조 원 이상의 국내 기업은 보통 이사회 내 위원회를 평균 4개를 둔다. 풀무원의 이사회 내 위원회는 8개로 다른 기업보다 많다.
풀무원은 2018년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고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했다. 2019년 3월에는 지주회사 풀무원이 비상장사인 자회사의 지분 100%(합자회사 제외)를 보유한 지배구조 체계를 완성했다.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