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갤럭시S24 싸게 쓰는 법, 유지비 줄이는 '자급제-알뜰폰 요금제' 조합 유리

배윤주 기자 yjbae@businesspost.co.kr 2024-02-14 14:45:3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출시 초반 인기가 뜨거운 갤럭시S24를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하고 싶은 소비자라면 ‘자급제폰 구입+알뜰폰 요금제’ 조합을 고려해 볼 만하다.

통신사를 거치지 않는 자급제폰을 사면 단말기 할인금액은 얼마 되지 않지만 기존 통신사와 비교해 절반 수준인 알뜰폰 요금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유지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갤럭시S24 싸게 쓰는 법, 유지비 줄이는 '자급제-알뜰폰 요금제' 조합 유리
▲ 삼성전자 갤럭시S24를 저렴하게 이용하고 싶다면 자금제폰 구입과 알뜰폰 요금제 조합이 좋다. 사진은 갤럭시S24 울트라. <삼성전자>

14일 삼성닷컴 사이트를 보면 갤럭시S24 시리즈 자급제폰을 6%가량 할인율을 적용한 금액으로 판매하고 있다.

256GB 기준으로 갤럭시S24는 108만4900원(정가에서 7만100원 할인), 갤럭시S24플러스는 126만9천 원(8만3100원 할인), 갤럭시S24울트라는 159만4900원(10만3500원 할인)이다. 쿠팡 같은 이커머스 사이트에서도 비슷한 가격대에 구매할 수 있다.

현재 기존 통신3사에서 갤럭시S24를 구매하면 받을 수 있는 최대 공시지원금 57만5천 원보다는 할인금액이 훨씬 적다. 공시지원금을 받으면 갤럭시S24(256GB)를 50만9900원에 살 수 있다. 

다만 공시지원금을 받을 때 24개월 약정이 적용되고 LG유플러스 기준으로 13만 원에 이르는 최고가 요금제를 사용해야 하는 조건이 보통 붙는다. 2년 뒤 단말기와 통신비 요금을 합쳐 총 362만9900원을 내게 된다.

이와 달리 알뜰폰 요금제를 이용하면 사실상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이용하면서도 유지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유모바일 5G 5만 원 요금제를 2년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총 비용이 228만4900원으로 계산된다.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 습관이나 용량에 따라 알뜰폰 비교 플랫폼을 찾아보면 이보다 더 저렴한 요금제가 많다. 

자급제폰과 알뜰폰 조합은 통신사의 온라인 요금제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해도 유리하다. LG유플러스 5G 데이터 레귤러 6만6천 원 요금제를 2년 이용했을 때 총 266만89900원이 든다.

물론 공시지원금을 받으며 고가의 요금제를 6개월 유지한 뒤에는 더 저렴한 요금제로 바꿀 수 있다. 하지만 한 번 굳어진 데이터 소비습관을 바꾸기 힘들어 그냥 유지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또 6개월 뒤 더 싼 요금제로 바꾼다 하더라도 유지비는 '자급제폰+알뜰폰 요금제'보다 더 많다. LG유플러스 5G 데이터 레귤러 6만3천 원 요금제로 바꾼다고 가정했을 때 총 비용은 242만3900원으로 추산된다.
 
갤럭시S24 싸게 쓰는 법, 유지비 줄이는 '자급제-알뜰폰 요금제' 조합 유리
▲ 갤럭시S24를 가장 싸게 살 수 있는 방법은 '자급제 단말기-알뜰폰 요금제' 조합으로 파악된다. <알뜰폰 요금제 혜택을 설명한 유모바일 홈페이지 갈무리>
선택약정할인을 받는 것도 공시지원금을 받는 경우와 비슷한 수준의 비용이 산출된다.
 
갤럭시S24로 LG유플러스 13만 원 요금제를 월 25% 할인받아 2년 동안 사용하는 경우 총 349만5천 원의 비용을 내야 한다. 

불법보조금을 받아 핸드폰을 싸게 살 수 있는 테크노마트 등 일명 ‘성지’에서는 갤럭시S24 단말기를 10만 원대에 살 수도 있지만 이 역시 고가의 요금제가 요구된다. LG유플러스 13만 원 요금제를 2년 사용한다고 했을 때 총 322만 원가량이 든다.

다양한 구매 방법별 총 비용을 따져봤을 때 ‘자급제폰+알뜰폰 요금제’ 방식이 가장 저렴한 것으로 파악되지만 물론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패턴과 유지 예정기간 등 본인의 상황에 따라 각 지원방법별 조건을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윤주 기자

최신기사

국회의장 우원식 "이르면 9월 말 개헌특위 구성, 시대 맞는 개헌안 만들자"
법무부 '윤석열 특혜' 논란 서울구치소장 교체, "인적쇄신 필요하다고 판단"
임종윤 한미약품·한미사이언스 상반기 보수 88억, 송영숙 11억 임주현 5억
이재현 CJ·CJ제일제당서 상반기 보수 92억 받아, 손경식 35억·이미경 12억
성기학 영원무역서 상반기 보수 13.2억 수령, 성래은 총 62억 받아
이재명 "온실가스 감축하려면 전기요금 오를 수밖에, 국민 이해 구해야"
SK증권 "펄어비스 붉은사막 또 다시 연기, 기다림과 실망의 연속"
구광모 상반기 LS서 보수 47억 수령, 권봉석 18억 조주완 15억 정철동 7억
정유경 상반기 신세계서 보수 20억, 이명희 6억 박주형·윌리엄 김 7억
정태영 상반기 현대카드·현대커머셜서 보수 27억, 조좌진 롯데카드서 8억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