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현지시각)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유니세프는 2016~2021년 사이 기후재난으로 4300만 명이 넘는 아동들이 강제 이주를 해야만 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사진은 한 어린이가 폭우 탓에 집을 잃고 의자에 의지해 비를 피하고 있는 모습. <유니세프 홈페이지 갈무리> |
[비즈니스포스트]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 탓에 하루 2만여 명의 아이들이 삶의 터전을 잃게 됐다는 유니세프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아동 이주 문제를 처음으로 분석한 것이다. 유니세프는 이 문제가 앞으로 더욱 커질 수 있어 국제사회의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봤다.
6일(현지시각) 가디언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기후재난으로 44개 나라 4310만 명의 어린이가 강제 이주했다는 유니세프의 연구결과를 보도했다.
하루에 2만 명 이상의 어린이가 거리로 내몰렸다고 조사된 것이다.
유니세프는 내부 이재민모니터링센터(IDMC)의 자체 분석 틀을 통해 기후재난과 관련된 과거(2016~2021년) 아동 이주 상황과 미래의 아동 이주 위험을 예측했다.
이번 연구는 홍수, 폭풍, 가뭄, 산불 등 기후재난에 따라 집에서 쫓겨난 아동 수에 관한 최초의 글로벌 분석이다.
유니세프는 전체 강제 이주자 가운데 아동이 3분의 1가량에 이르지만 지금까지 재난과 강제 이주 사이의 연관성 연령별로 분류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조사시간 아동 이주자는 전체 이주자 1억3500만 명의 32%를 차지했다.
유니세프는 “이주는 재난 발생 때 또는 선제적 대피의 결과로 강제되거나 갑작스럽게 이뤄질 수 있다”며 “생명은 구할 수 있지만 어린이는 집에서 쫓겨나 장기간 위험에 직면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재난의 여파로 어린이는 부모나 보호자와 헤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착취, 아동 인신매매, 학대의 위험이 증폭된다”고 설명했다.
가디언도 갑작스러운 이주는 누구에게나 어려움을 안겨 주지만 특히 아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가 의미 있다고 봤다.
가디언은 “갑작스러운 이주는 연령과 관계없이 충격적이고 두려운 일”이라며 “그러나 특히 교육 및 의료서비스 혜택,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기회를 놓칠 수 있는 어린이에게는 더 큰 피해로 다가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유니세프의 연구에 따르면 아동을 집에서 내쫓은 가장 큰 요인은 홍수와 폭풍으로 이 재난들은 조사기간 아동 이주의 95%(4090만 명)를 야기했다.
가뭄은 130만 명, 산불은 81만 명의 아동을 이주하게 했다.
특히 기후재난은 가난과 분쟁, 자원 착취 등으로 이미 생존의 위협에 직면한 국가들에 더 큰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절대적 수치로 보면 중국, 필리핀, 인도의 아동 이주자 수가 전체 아동 이주자 수의 절반이 조금 넘는 2230만 명을 기록했다.
그러나 빈곤이나 분쟁이 심각한 사회문제인 도미니카공화국, 바누아투, 소말리아, 남수단, 아이티 등에서 아동 인구 규모와 비교해 더 높은 비율의 어린이들이 재난 피해를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일례로 카리브해에 위치한 작은 섬나라인 도미니카공화국에서는 2017년 허리케인 ‘마리아’ 탓에 무려 76%의 아동이 강제로 집을 떠나야만 했다.
유니세프는 앞으로도 이런 위험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향후 30년 동안 홍수 피해로 집을 떠날 가능성이 있는 어린이는 9600만 명으로 예측됐다. 폭풍으로 인해 강제 이주자가 될 위기에 처한 아동은 1750만 명으로 조사됐다.
게다가 이번 연구결과는 실제 상황보다 과소집계됐을 가능성이 크고 앞으로도 기후변화에 따라 재난이 더 빈번해져 예상치가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베레나 크나우스 유니세프 글로벌 이주담당 책임자는 “이번 연구는 절대적으로 보수적 추정치이며 기후 영향에 관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니세프는 11월부터 두바이에서 열리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기후변화로부터 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지원책과 해결방안 등이 제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캐서린 러셀 유니세프 총재는 “도피를 강요당한 아동들이 겪는 걱정과 두려움의 영향을 파괴적일 수 있다”며 “우리는 위험해 처한 어린이를 보호하고 이미 뿌리 뽑힌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