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롯데그룹에 대한 대대적인 수사를 진행하면서 김앤장이 또다시 주목받고 있다.
롯데그룹이 국내 로펌 1위 김앤장을 중심으로 ‘막강’ 변호인단을 꾸린 데 따른 것이다.
롯데그룹을 비롯한 대그룹들이 김앤장을 선호하는 것은 풍부한 ‘전관 파워’를 앞세워 재판에서 승소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령 패소하더라도 ‘책임론’에서 벗어나기 쉽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재벌 대기업들의 비리의혹이 터질 때마다 대형로펌들의 배만 불린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 김앤장, 롯데그룹 컨트롤타워 정책본부 변호
20일 검찰과 재계에 따르면 신동빈 회장과 핵심 측근들의 소환이 예고된 롯데그룹은 최근 김앤장과 태평양, 광장, 세종 등으로 구성된 초호화 변호인단을 꾸린 것으로 전해졌다.
|
|
|
▲ 천성관 변호사(왼쪽)와 차동민 변호사. <김앤장 홈페이지> |
김앤장은 검찰수사의 핵심이자 롯데그룹의 컨트롤타워인 그룹 정책본부와 신 회장 부자에 대한 변호를 맡을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정부에서 검찰총장 후보까지 지명됐다가 인사청문회 하루 만에 ‘스폰서 의혹’으로 낙마한 천성관 전 서울중앙지검장과 차동민 전 서울고검장이 롯데그룹 변호의 ' 쌍두마차'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천 변호사는 지난해 롯데그룹의 경영권 분쟁 때부터 롯데그룹과 관련한 업무를 총괄해 왔다.
김앤장은 3년 전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횡령과 배임, 조세포탈 혐의로 구속됐을 때도 CJ그룹의 변론을 맡았다.
CJ그룹 관계자는 “많은 비용을 들인 변호인단의 노력에도 결국 이 회장이 구속되고 실형까지 받았지만 사건 초기때부터 김앤장이 실무를 맡아와 이제와서 바꾸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롯데그룹과 CJ그룹처럼 총수가 사법처리될 위기에 처한 기업들이 김앤장을 ‘방패막이’로 활용할 경우 천문학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 대기업 법무팀 관계자는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 보통 시간당으로 비용이 청구되는데 오너가 구속 위기에 처한 형사사건의 경우 연간 선임료가 100억원을 훌쩍 넘는 게 보통”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재벌가 오너들은 일반인들의 상상 이상으로 감옥행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로펌들이 달라고 하는 대로 줄 수밖에 없다”며 “대형 사건이 터지게 되면 특수를 누리는 건 김앤장을 비롯한 대형 로펌들”이라고 덧붙였다.
전관 변호사 등 ‘막강한 맨파워’ 때문에만 기업들이 김앤장을 찾는 것은 아니다.
기업들이 김앤장을 찾는 또다른 이유는 ‘안전성’ 때문이다.
검찰 수사를 받은 한 대기업 관계자는 “업계 1위 김앤장에게 변호를 맡겨야 승소하든 패소하든 안전하다는 인식이 재계에 퍼져 있다”며 “승소하면 물론 아무런 탈이 없지만 설령 패소하게 되더라도 김앤장에 업무를 맡겼다는 이유로 문책이 덜 부담되는 게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 김앤장은 한국의 골드만삭스?
일각에서 김앤장이 한국의 골드만삭스라는 말도 나온다.
둘은 정부의 핵심요직에 인사들을 ‘회전문 인사’ 형태로 보냄으로써 정.재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
|
|
▲ 김앤장 법률사무소. |
미국의 경우 부시 행정부때 재무부 장관 헨리 폴슨과 백악관 비서실장 조수아 볼턴이 각각 골드만삭스 회장과 최고위직 출신이었다.
클린턴 정부 때의 대표적 인사로는 로버트 루빈 재무부 장관을 꼽을 수 있다. 루빈은 관직에 오르기 전 26년 동안 골드만삭스에서 근무하다 최고위직까지 올랐는데 ‘골수 골드만삭스맨’으로도 불렸다.
루빈 밑에서 차관을 하다 장관직 바탕을 넘겨받은 래리 서머스 역시 ‘골드만삭스 인맥’으로 분류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 때문에 미국의 행정부를 ‘골드만삭스 사단’이라고 비아냥거리기도 했다.
서머스는 오바마 정부에서도 국가경제자문위원장을 맡았는데 재무부 장관직을 맡았던 티머시 가이트너는 서머스의 제자이기도 하다.
오바마 정부에서는 골드만삭스 출신 관료가 하도 많아 ‘삭스 정부(Government Sachs)'란 신조어도 생겨났다.
김앤장의 경우 최근 12년 동안 모두 8명의 자사 출신 변호사를 청와대 민정수석실 비서관으로 입성시켰다.
국내 로펌 중에서는 단연 으뜸이다. 김앤장이 ‘한국의 골드만삭스’로 불리는 이유다.
김광기 경북대 교수(사회학)는 “김앤장이 청와대에 변호사들을 청와대에 대거 입성시키는 이유는 뻔하다”며 “권력의 핵심에 출신 변호사를 꽂아 영향력을 마음껏 행사하겠다는 계산, 즉 이익추구를 위해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재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