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정부가 마이크 폼페이오 전 미국 국무장관 초청을 위해 수십만 달러에 이르는 비용을 들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비판을 받고 있다.
폼페이오 전 장관이 트럼프 행정부 시절 대중 강경정책을 이끈 대표적 인물이라는 점에서 친중 성향의 대만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대만 정부가 국민 세금을 낭비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7일 중국 현지매체 환츄스바오에 따르면 폼페이오 전 장관이 3박4일 일정으로 대만을 방문하는 데 15만 달러(1억8천만 원)에 이르는 초청 비용이 사용됐다는 소문이 퍼졌다.
대만에서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틈을 타 중국도 대만에 군사적 위협을 강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됐다.
대만 정부는 이런 상황에서 대중 강경파 인사인 폼페이오 전 장관을 초청해 미국의 지지를 재확인했다.
하지만 폼페이오 전 장관의 대만 방문이 미국 정부와 무관하게 진행된 개인 일정에 불과한데 대만 정부에서 이를 위해 거액의 세금을 썼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제기됐다.
대만의 싱크탱크로 불리는 위안징기금회가 폼페이오 전 장관을 초청했고 대만 외교부도 지원금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 외교부는 “위안징기금회의 초청으로 폼페이오 전 장관의 포럼 연설이 이뤄졌으며 구체적 대가는 밝히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단순 초청비용 이외에 폼페이오 전 장관의 포럼 연설, 기업인 회담 등에도 추가 비용이 들었다.
대만 매체 롄허보는 6일 폼페이오 전 장관이 대만 일정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여러 정재계 인사들과 만났는데 현지 기업들이 이 만남을 위해 따로 현금을 냈다고 보도했다.
친중 성향의 대만 정치인들 사이에서 자연히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환츄스바오에 따르면 황쯔저 국민당 대변인은 “정부가 국민 세금을 들여 폼페이오 전 장관을 초청했다면 대만이 얻은 실질적 이익이 무엇인지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만 정부에서 폼페이오 전 장관의 대중 강경파 이미지를 필요로 했을 뿐 실익은 거두지 못했다는 의견도 나왔다.
환츄스바오는 장야중 대만 쑨위안학교 교장의 말을 인용해 “차이잉원 정부는 폼페이오라는 사람의 신분을 통해 ‘중화민국대만’이라는 새로운 나라의 이름을 미국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노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