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홍하이그룹이 일본 샤프의 LCD사업 인수작업을 곧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샤프는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데 기술력만 믿고 변화하는 시대흐름을 쫓아가지 못해 결국 LCD사업을 내줬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국내 기업들도 샤프의 몰락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 홍하이, 샤프의 LCD사업 인수 곧 확정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대만 홍하이그룹 산하 폭스콘의 샤프 LCD사업 인수가 다음주 초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4일 보도했다.
|
![일본 샤프, '기술만능주의'에 빠져 몰락 재촉]() |
|
▲ 궈타이밍 홍하이그룹 회장. |
샤프는 2월25일 임시이사회에서 폭스콘을 인수자로 선택했지만 샤프가 폭스콘에 제출안 3500억 엔(약 3조7400억 원)가량의 우발채무 문제로 계약이 미뤄졌다.
샤프는 “우발채무는 공장이 천재지변에 따른 갑작스런 가동 중단 등 발생가능성이 거의 위험들에 대비해 계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폭스콘 측은 조사결과 액정 등 주요 사업에서 재정 리스크가 크지 않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산케이신문은 “폭스콘은 향후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샤프의 우발채무는 1천억 엔 미만으로 파악했다”며 “7일 조사를 마무리하고 이르면 9일 계약을 체결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앞서 폭스콘은 샤프에 4890억 엔을 출자해 66%의 지분을 확보하고 은행들이 보유한 샤프의 우선주를 매입하는 등 6600억~7천억 엔대의 지원안을 제시했다.
◆ 샤프는 왜 몰락했을까?
샤프는 1912년 창립됐는데 명성을 얻게 된 것은 1915년 ‘샤프펜슬’이라는 기계식 연필을 내놓으면서부터다. 샤프는 이 회사의 사명이 됐고 지금도 기계식 연필의 대명사로 통한다.
창업자 하야카와 도쿠지는 기술을 강조했는데 이런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샤프는 1953년 일본 최초로 흑백TV를 내놓은 데 이어 1973년엔 세계 최초의 액정(LCD) 표시 전자계산기를 출시했다.
샤프는 그 뒤 고속성장을 거듭해 2001년 세계 액정TV시장에서 80%에 가까운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당시 삼성전자 점유율은 1.3%에 불과했다.
일본에서는 샤프가 몰락하게 된 원인으로 기술에 대한 맹신을 첫손에 꼽는다.
샤프가 기술력을 과신한 나머지 글로벌시장의 흐름을 읽고 이에 맞춘 제품 개발과 시장개척을 게을리했다는 것이다.
|
![일본 샤프, '기술만능주의'에 빠져 몰락 재촉]() |
|
▲ 일본 오사카에 있는 샤프의 LCD패널 생산공장. |
업계에서 샤프의 몰락을 ‘기술의 함정’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원조’라는 자신감이 시장상황을 읽는 눈을 가렸다는 의미다.
소니가 한때 세계 TV시장을 호령했으나 TV사업을 분사하고 파나소닉이 PDP TV 사업을 접는 등 변신에 나설 때도 샤프만 위기상황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했다.
‘샤프 액정 패전의 교훈’이라는 책을 쓴 나카타 유키히코 교수는 “좋은 제품을 만들면 팔린다는 '기술신앙'에 빠져 있었던 일본은 세계에서 고립됐다”며 “이는 샤프뿐 아니라 일본 전자산업의 문제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샤프의 몰락이 우리 산업계에 던지는 메시지는 분명하다”며 “당장 발등의 불로 떨어진 구조조정과 사업재편에 속도를 내지 못하면 우리도 몰락할 수 있다는 냉혹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재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