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20일 미국 워싱턴DC 연방의회 의사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존 로버츠 연방대법원장을 앞에 두고 선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57.86포인트(0.83%) 오른 3만1188.38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52.94포인트(1.39%) 높아진 3851.8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60.07포인트(1.97%) 상승한 1만3457.25에 각각 장을 마쳤다.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종가뿐 아니라 장중 기준으로도 모두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역대 미국 대통령 취임날을 기준으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지수의 상승률은 1985년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표령의 두 번째 임기 시작일 이후 36년 만에 가장 높았다. 나스닥지수 상승률은 역대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바이든 대통령이 대규모 추가부양안을 집행하고 코로나19 백신 보급속도를 높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바이든 대통령은 1조9천억 달러 규모의 추가부양안을 내놨는데 미국인들에게 현금 1400달러 직접 지급하고 실직자들에게 추가 실업수당을 지급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종목별로 살펴보면 대형기술주가 증시 상승을 이끌었다.
넷플릭스는 이날 실적 발표에서 지난해 말 가입자 수 2억 명을 넘었다고 발표하자 주가가 16.89% 뛰었다.
알파벳(5.36%), 아마존(4.57%), 애플(3.29%), 페이스북(2.44%) 등의 주가도 강세를 보였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바이든 후보가 당선된 뒤 나스닥지수가 20% 넘게 급등했지만 대형기술주는 규제 강화 등을 이유로 등락이 제한됐다”며 “하지만 19일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후보자가 법인세 인상을 할 수 있지만 경제가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기 전에는 단행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하는 등 기업에 부담 주는 정책들이 미뤄질 것이라는 기대심리가 퍼졌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