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 IT기업들이 새로운 '기업윤리'를 요구받고 있다. 돈은 많이 벌고 있으나, 일자리와 소득 분배 효과는 미약하고 결국 IT기업들 자신의 배만 불리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12월말 트위터에서는 구글을 맹비난하는 시위대의 사진 한장이 올라왔다. 구글 직원 크레이그 포스트가 올린 것인데, 시위대들은 구글 통근버스를 가로막고 "꺼져라 구글"이라는 플래카드를 펼치고 있었다.
![]() |
||
▲ 시위대에게 가로막힌 구글 버스. 사진은 트위터 @craigfrost |
이코노미스트 컬럼니스트 애드리언 울드리지(Adrian Wooldridge)는 “긱(Geeks)이 가장 무자비한 자본가임이 드러났다”고 주장한다. 긱(Geek)은 '전자 공학이나 지성(intellectuality) 등의 한 분야 혹은 여러 분야를 탁월하게 이해하고 있는 특이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양복 입은 긱(Geeks in suits clothing)'이란 숙어는 '비즈니스를 이해하는 IT 분야의 유명 인사'를 일컫는 말로 사용된다.
울드리지는 이런 주장의 근거로 구글의 시가총액 290억 달러는 GM보다 여섯배나 많지만, 고용자 수는 5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들었다. 특히 정부의 많은 투자에도 이러한 기술 거인들은 세금을 회피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법인세가 낮은 아일랜드에 모기업을 두는 방식으로 세금을 회피하는 '더블 아이리시' 전략이 대표적이다. 80년대 후반 애플 등이 처음 시도한 이래 지금까지 구글, MS, 페이스북, 어도비 등 IT기업들이 이 전략으로 세금을 피하고 있다. 유럽 법인이 법인세가 낮은 아일랜드에 모기업을 두고, 미국 본사는 아일랜드에 또다른 지사를 두어서 이익을 회수하는 방식이다. 2012년 아마존은 이 방법으로 독일에서 세금을 한푼도 내지 않았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대상그룹 승계 과도기 중책 맡은 전문경영인, 대상홀딩스-최성수 대상-임정배 역할분담 |
대상홀딩스 이사회 견제장치 미흡, 8명 중 임창욱 박현주 임세령 오너 3명에 내부 임원도 3명 |
금감원장 공석 길게 간 사례 없는데, 이재명 '실용' 선택은 정치인 관료 학자 내부 중 누구 |
엔비디아 트럼프 정부 신뢰 어렵다, AI 반도체 중국 수출 되찾아도 '불안' 여전 |
오세훈 "공공주택 진흥기금으로 주택공급 속도, 소비쿠폰은 '하책 중의 하책'" |
롯데물산에 'SOS' 치는 롯데그룹, 장재훈 '버팀목' 역할 위해 임대사업 담금질 |
두산건설 지방 완판 행진 속 '일산 악몽'도 뒤로, 이정환 시평 순위 상승세 타나 |
신성통상 상장폐지 수순 밟다, 염태순 3천억 '현금 인출' 파란불 시나리오 |
대한전선, 해저케이블 2공장 1단계 건설에 4972억 투자 확정 |
테슬라 보유 비트코인 가치 14억 달러 육박, "불필요한 리스크" 비판도 나와 |
HS효성 조현상, 베트남 끄엉 주석에 'APEC CEO 서밋' 기조 연설 요청 |
구글 웨이모 주행거리 반년 만에 2배 증가, 테슬라 로보택시 등장에 '가속도' |
삼성전자 인텔 투자 위축으로 ASML 실적 타격, AI 반도체 호황에도 '먹구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