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옵티머스펀드 환매중단과 관련한 보상안의 윤곽이 곧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자금이 묶인 고객의 유동성을 위한 투자금 선지급 비율을 비롯해 자산 회수 및 금융감독원 조치 이후 선지급한 투자금을 어떻게 할지 등 방안이 23일 이사회 이후 구체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NH투자증권이 내놓을 선지급 비율을 놓고 다양한 추측이 나오고 있다.
최소 1천억 원 이상 규모로 유동성을 지원할 것이라는 전망을 비롯해 통상적으로 판매사들이 선지급하는 50% 수준, 한국투자증권이 내놓은 70% 등 다양하다.
다만 정영채 사장이 어떤 결정을 내리더라도 NH투자증권과 투자자 모두를 만족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NH투자증권에서 판매된 펀드 가운데 환매가 중단됐거나 만기가 남은 펀드 규모가 4407억 원에 이르는 만큼 50%대로 지원비율을 결정해도 2천억 원을 넘어간다.
한국투자증권처럼 70%로 결정하면 3천억 원을 넘게 지출해야 한다. 2019년 NH투자증권의 순이익이 4300억 원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실적에 엄청난 타격을 입을 수 있다.
하지만 한국투자증권보다 지원비율을 적게 결정하면 투자자들이 반발할 것이 확실시된다.
NH투자증권을 통해 옵티머스운용의 펀드를 가입한 투자자들은 NH투자증권을 믿고 펀드에 가입한 만큼 판매사 차원의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가장 큰 책임은 운용사에 있고 NH투자증권도 옵티머스운용에 속았다고 하더라도 판매사가 투자자들의 피해를 좌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정 사장은 그동안 고객가치를 높이기 위해 증권업계 최초로 CCO(소비자보호최고책임자)를 독립적으로 선임하고 핵심성과지표(KPI) 대신 ‘과정가치 평가제도를 도입하는 등 금융소비자 보호에 앞장서 왔는데 이번 옵티머스 펀드 환매중단으로 그동안 쌓은 고객 신뢰를 잃어버릴 수 있는 위기를 맞이한 셈이다.
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중단 때에는 NH투자증권의 판매금액이 크지 않아 부담이 덜했지만 이번에는 NH투자증권이 논란의 중심으로 떠올라 더욱 부담이 될 것으로도 보인다.
앞서 NH투자증권이 판매한 환매중단 라임자산운용 펀드는 183억 원으로 환매가 연기된 라임펀드 전체 1조6679억 원 가운데 약 1%에 그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