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조선사가 LNG(액화천연가스)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정상적 인도에 실패한 것을 놓고 기술 경쟁력의 부족을 드러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시장에서 중국 조선사들은 한국 조선사들의 경쟁자가 되지 못하며 대우조선해양이 가장 뛰어난 건조능력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박무현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4일 “조선업 기술 경쟁의 핵심은 정상 인도(선박의 건조 원가를 통제하면서 인도기한을 준수하는 것)능력”이라며 “한 달 가량 조기 인도를 하는 한국 조선사들과 달리 중국 조선사들은 정상 인도를 해본 경험이 거의 없다”고 분석했다.
중국 상하이와이가오차오조선은 2017년 11월 프랑스의 컨테이너 해운사 CMA-CGM에서 LNG 추진방식의 2만3천 TEU(20피트 컨테이너 적재량단위)급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4척 수주했다.
첫 선박을 2019년 11월 인도하기로 했지만 아직도 인도하지 못하고 있다.
첫 선박은 인도기한이 2차례 미뤄져 2020년 7월로 연기됐다. 그러나 아직 가스시운전(가스 트라이얼, LNG운반선이나 LNG추진선의 탱크에 가스를 채워 시범 가동하는 작업)조차 진행되지 않았다.
박 연구원은 “인도지연이 거의 1년에 가까운 상황이므로 CMA-CGM은 운영상의 손실을 조선사에 떠넘기려 할 것”이라며 “선박의 기술적 완성도 역시 최초 선주가 기대했던 수준에는 못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상하이와이가오차오조선의 인도 지연이 중국 조선사들의 정상 인도능력 부족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사례라고 봤다.
상하이와이가오차오조선은 CMA-CGM의 컨테이너 화물창 변경 요구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선박 건조작업이 늦어지고 있다. 중국 조선사들은 선박의 기본설계능력이 부족해 선주사들이 설계 변경을 요구하면 정상 인도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인도실적에 주목했다.
현재 운항 중인 1만5천 TEU급 컨테이너선 170척 가운데 56척을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했다.
2만 TEU급 이상 컨테이너선은 인도량(건조량과 수주잔고의 합계) 65척 가운데 20척이 대우조선해양의 몫이다.
박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은 가장 많은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경험을 보유한 조선사이며 모두 정상 인도에 성공했다”며 “초대형 컨테이너선은 대우조선해양이 세계 1등”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