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정부 시절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김정렴 박정희대통령기념사업회장이 96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김 회장이 25일 별세해 서울삼성병원에 빈소가 차려졌다.
김 회장은 박정희 정부 경제관료 출신으로 1966년 재무부(현 기획재정부) 장관, 1967년 상공부(현 산업통산자원부) 장관을 역임했다.
1969년 10월부터 1978년 12월까지 청와대에서 박 전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근무했고 산업화 시기 경제정책의 밑그림을 그리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 회장은 일제강점기인 1924년 서울에서 태어난 뒤 충남 논산에서 자랐다. 일본 유학을 마친 뒤 1944년 조선은행(현 한국은행)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그러나 그 직후 강제 징집돼 일본 육군예비사관학교에 교육을 받고 일본군에 배속된 뒤 히로시마에서 일제 패망을 맞았다. 당시 미군의 히로시마 원폭 투하로 평생 원폭 후유증을 앓았다.
1945년 해방 뒤에는 육군보병학교를 거쳐 육군 준위로 임관했고 6·25 전쟁에 참전한 뒤 1952년 준위로 예편했다.
김 회장은 1956년에 한국은행에 돌아와 조사부 차장, 뉴욕사무소장 등으로 일했고 박정희 정부 초기 재무부 차관에 발탁되면서 박 전 대통령과 인연을 맺었다.
1962년 화폐개혁 당시 실무 책임자로 일하면서 박 전 대통령의 신임을 얻었다. 1964년 상공부 차관을 지내면서 한·일회담 등에 참여했고 1966년 재무부 장관으로 발탁됐다.
1969년 이후락 전 중앙정보부장의 후임으로 대통령 비서실장에 임명된 뒤 9년3개월 동안 자리를 지켰다. 역대 모든 정부 가운데 최장수 대통령 비서실장이다.
김 회장은 1978년 12월 당시 총선에서 여당인 민주공화당이 야당인 신민당보다 득표율이 1.1%포인트 낮게 나온 데 책임을 지고 청와대를 나왔다. 그 뒤 주일대사에 임명됐다.
김 회장은 슬하에 김희경씨, 김두경 전 은행연합회 상무이사, 김승경 전 새마을금고연합회 신용공제 대표이사, 김준경 전 한국개발원장을 뒀다. 사위로는 김중웅 전 현대증권 회장이 있다.
빈소는 서울삼성병원 장례식장 14호실이고 발인은 8일 오전 8시30분, 장지는 서울추모공원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은주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