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일반

미성년자 저축은행 5천만 원 이상 계좌 늘어, 유의동 "당국 주목해야"

윤종학 기자 jhyoon@businesspost.co.kr 2019-10-06 12:18:5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미성년자 사이에서도 빈부격차가 심화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유의동 바른미래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저축은행 79곳에 맡겨진 미성년자 보유계좌는 8039개로 집계됐다.
 
미성년자 저축은행 5천만 원 이상 계좌 늘어, 유의동 "당국 주목해야"
▲ 유의동 바른미래당 의원.

유의동 의원은 "저축은행 예·적금 현황을 통해 미성년자 사이에서도 빈부격차가 심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며 "당국은 미성년 부자들이 납세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미성년자가 보유한 저축은행의 예·적금 계좌가 약 8천 개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잔액 5천만 원이 넘는 계좌는 260개로 2년반 사이 12%가량 늘었다.
 
이들 계좌의 잔액은 모두 1785억6200만 원으로 계좌당 평균 2221만 원의 현금을 들고 있었다.

2016년부터 3년 동안의 추이를 살펴보면 5천만 원을 기준으로 그 아래의 계좌 수와 잔액은 매년 줄어드는 데 비해 5천만 원 이상을 넣은 계좌와 잔액은 증가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난다.

미성년자가 보유한 1천만 원∼5천만 원 예·적금 계좌는 2016년 9254개에서 올해 7월 7771개로 1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총잔액도 1945억900만 원에서 1638억3400만 원으로 약 307억 원 줄었다.

반면 5천만 원 이상의 미성년자 계좌는 233개에서 260개로 11.6% 증가했다. 총잔액은 123억8100만 원에서 147억2800만 원으로 약 23억 원 늘었다.

가장 많은 계좌 잔액을 보유한 사람은 국제저축은행에 2억6400만 원을 맡긴 만 18세 가입자였고 두 번째는 조흥저축은행에 2억6천만 원을 둔 만 10세 어린이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종학 기자]

최신기사

한은 비트코인 비축 관련 부정적 입장 처음 표시, "외환보유액 편입 신중해야"
롯데온, 롯데 계열사 12곳 혜택 모두 모은 '엘타운' 정식 출시
LCC 최장수 대표 티웨이항공 정홍근, 31일 정기 주총 끝으로 떠나기로
비트코인 1억2380만 원대 하락, 미국 관세 정책에 '추가 하락' 전망 나와
DL 회장 이해욱 DL이앤씨서 작년 보수 6억 받아, 플랜트본부장 유재호 10.8억
HD현대그룹 메디플러스솔루션 대표에 장석원 선임, 롯데헬스케어 출신
CJ제일제당 인천시·인천대와 해양수산 연구 협력, '김 육상양식' 공동 연구
GS25 베트남 하노이 6개 매장 동시 개점, "2027년 700호점 목표"
한화오션, 조선하청지회 협력사 상여금 지급 놓고 "현행법상 허용 안 돼"
롯데건설 GS건설 컨소시엄, 7094억 규모 서울 상계5구역 재개발 수주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