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삼성SDI 실적 3분기 부진, 중대형전지 흑자로 4분기는 실적회복

김디모데 기자 Timothy@businesspost.co.kr 2019-09-17 10:53:0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삼성SDI가 3분기에 부진한 실적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자동차전지 성장 등에 힘입어 4분기에는 실적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 실적 3분기 부진, 중대형전지 흑자로 4분기는 실적회복
▲ 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17일 삼성SDI를 놓고 “자동차전지 중심의 중장기 실적 개선 전망은 변함없이 신뢰한다"면서도 “단기적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원형전지 수요가 미흡해 숨고르기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에너지저장장치는 보험문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격 하락 등 내수 불안정 요인이 해소되지 않았다고 봤다. 원형전지도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등 사업환경의 악화 영향이 불가피한 것으로 판단했다.

삼성SDI는 3분기에 매출 2조7154억 원, 영업이익 1573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매출은 2018년 3분기보다 7.6% 늘지만 영업이익은 18.8% 감소하며 시장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소형전지는 거시 환경 악화의 영향을 받고 폴리머는 보급형 스마트폰 비중이 확대돼 판매가격(ASP)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자재료는 올레드(OLED)소재 공급은 늘어나지만 반도체소재 수요는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자동차전지는 유럽에서 다수의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변경모델과 신규 전기차(EV) 모델 수요에 힘입어 순항할 것으로 전망됐다.

4분기에는 중대형전지가 흑자로 전환해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매출은 2조9276억 원, 영업이익은 2484억 원으로 2018년 4분기보다 매출은 18.1% 늘고 영업이익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김 연구원은 “자동차전지는 대규모 프로젝트들이 시작되면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해 갈 것”이라며 “에너지저장장치는 내수시장 지배력 강화와 북미 등 해외시장 호조로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형 소형전지 역시 일시적 약세를 딛고 전기차, 전기자전거, 전기스쿠터 등 e-모빌리티 매출이 증가하며 성장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

최신기사

[오늘의 주목주] '상법개정 기대' 현대모비스 5%대 상승, 코스닥 디앤디파마텍 11%..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은평·서대문·마포 중심 3주만에 반등, 공급 우위 흐름 지속
정부 '세수부족'에도 728조 슈퍼예산 편성, "씨앗 빌려서라도 농사 지어야"
거들떠보지 않던 '후방 OEM'에서 '핵심 파트너사'로, 펌텍코리아 K뷰티 패키징 선도
'월가의 토큰' 부상하는 이더리움, 단기 랠리인가 장기 강세의 서막인가
구광모 LG그룹 '리밸런싱' 본격화, 비핵심자산 매각·인력 구조조정으로 침체기 극복 추진
SK텔레콤·SK에코플랜트, 아마존웹서비스·울산과 함께 AI 데이터센터 착공
대신증권 "삼양식품 스틸 온 파이어, 확대된 생산능력으로 실적 모멘텀 강화"
[한국갤럽] 정당지지도 민주당 44% 국힘 23%, TK·70대 제외 민주당 우세
특검 김건희 구속기소, 역대 영부인 가운데 처음으로 재판받는다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