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울산시와 지역 수협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해상풍력발전이 어업 등 해상환경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두고 시와 어민 사이 의견이 엇갈린다.
송철호 시장은 신재생에너지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2025년까지 울산 동남쪽 63km 부근 ‘동해 정’ 해역에 1GW급 이상의 발전단지를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울산시는 아직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밑그림을 그리는 단계에 머물러 있어 환경에 관한 영향을 판단하기 이르다고 본다.
울산시 관계자는 “민간 투자회사가 이제 막 해상에 풍력 측정장비인 부유식 라이다(LiDAR)를 설치해 사업성을 추산하고 있다”라며 “환경영향평가를 해야 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울산시에 따르면 현재 해상에 있는 라이다는 1기뿐이다.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에 참여하는 기업 가운데 하나인 'GIG(그린인베스트먼트그룹)'가 6월10일 설치했다.
하지만 수협 등 지역 어민들은 라이다 등 해상풍력 발전시설이 수산업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울산 지역 수협과 어민 관계자들은 최근 ‘해상풍력사업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송철호 시장의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막기 위한 조직적 대응을 예고했다.
대책위원회 관계자는 “라이다가 설치되면서 인근 어업에 차질을 빚게 됐고 한밤중에는 라이다가 어선과 충돌할 위험도 있다”며 “울산시는 어민의 생계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라이다를 철수해야 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어민들이 근거 없이 막연하게 해상풍력발전을 거부하는 것은 아니다.
나덕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해상풍력 발전설비가 환경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의 실태와 전망’에서 “해상풍력시설에 사용되는 각종 윤활유나, 연료, 냉각제, 도료 등이 누출돼 해양환경에 유입되면 생물학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력선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어류나 해양포유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제기됐다.
지역사회에서는 송 시장이 어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진행했다는 말도 나온다.
하지만 울산시 관계자는 “2018년 12월 시민토론회, 1월 어민을 대상으로 개최한 간담회 등 여러 경로를 통해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논의했다”며 “소통이 부족했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나”라고 반문했다.
송철호 시장은 지역 어민들의 반발이 부담스러울 것으로 보인다. 아직 해상풍력 발전사업이 계획 단계에 있는 만큼 부정적 여론이 계속되면 민간 투자회사들이 이탈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현재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프로젝트에는 로열더치쉘과 코엔스헥시콘, SK E&S와 CIP, GIG, KFWind 등 여러 국가의 발전회사 컨소시엄이 참여하고 있다. 해상풍력 발전단지 건립에 들어가는 전체 사업비는 수십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