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구영기 현대자동차 인도법인 법인장과 아누팜 아가왈 레브 공동창업자, 카란 제인 공동창업자가 악수하고 있다.<현대자동차> |
현대자동차가 인도의 차량 공유기업 ‘레브(Rew)’에 투자한다.
현대차는 20일 “레브와 협력하기 위해 전략적 투자를 결정했다”며 “인도 공유경제시장에 진출하는 첫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레브는 인도에서 모빌리티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높여가고 있는 기업으로 현대차는 이번 투자를 통해 모빌리티사업과 관련한 경쟁력을 크게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리브는 2015년 차량공유사업을 시작해 현재 인도의 11개 대도시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른 공유경제기업들보다 혁신적이고 차별화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도 모빌리티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레브는 인도 공유경제업계 최초로 렌탈과 차량 공유를 결합한 형태의 서브스크립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브스크립션 서비스는 자동차를 소유하는 제3의 방식으로 급부상하고 있는데 월 정액 요금을 내면 차종을 마음대로 바꿔 탈 수 있고 이용 기간도 마음대로 정할 수 있다.
현대차는 레브에 전략적 투자를 시작한 것을 계기로 차량 공유사업과 연계한 새 모빌리티사업을 구상하고 미래 모빌리티시장을 주도하는 역량과 기술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대차는 레브에 투자한 유일한 자동차기업으로서 상당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차량 공유사업에 적합한 자동차를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개발, 마케팅 등 여러 방면에서 협업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지영조 현대자동차그룹 전략기술본부장 부사장은 “인도시장은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투자와 함께 모빌리티산업 전반에서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누팜 아가왈 레브 공동창업자는 “인도 자동차시장을 선도하는 현대차와 협력하게 돼 기쁘다”며 “현대차는 모빌리티 혁신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 레브에게 이상적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의 차량 공유시장은 현재 1만5천 대 규모에서 2020년 5만 대, 2022년 15만 대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는 인도뿐 아니라 유럽과 동남아시아에서도 모빌리티사업 기반을 확장하고 있다.
현대차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아이오닉일렉트릭(아이오닉EV)을 활용한 차량 공유사업을 벌이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라스트마일(말단) 배송 서비스기업인 메쉬코리아와 협업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최대 차량호출기업인 그랩과 중국의 라스트마일 운송수단 배터리 공유기업 임모터, 호주의 P2P(개인대 개인) 차량 공유기업 카넥스트도어 등에도 투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