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바이오·제약

박문덕, 맥주전쟁을 선포하다

조은아 기자 euna@businesspost.co.kr 2014-03-13 19:12:0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분노하는 병사는 지지 않고, 목숨 걸고 싸우면 당할 상대가 없다." 박문덕 하이트진로 회장이 지난 1월 임직원에게 던진 메시지다.

  박문덕, 맥주전쟁을 선포하다  
▲ 박문덕 하이트진로 회장
박 회장이 칼을 갈고 있다. OB맥주에 빼앗긴 1위 자리를 반드시 탈환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더욱이 올해는 월드컵 특수를 맞아 맥주 소비량이 늘 전망이다. 이 기회를 놓치지 않겠다고 단단히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올해는 일찌감치 '맥주 거품 전쟁'이 예고됐다. 6월 월드컵을 앞두고 있고 9월부터 인천에서 아시안게임도 열린다. 여기에다가 세계 최대 맥주회사인 안호이저-부시인베브(AB인베브)가 OB맥주를 재인수했고 막강한 유통 파워를 가진 롯데주류가 업계에 합류했다. 롯데의 맥주가 상반기 내에 출시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맥주 업계는 전운이 감돌고 있다.

박 회장이 이런 상황에서 목숨 걸고 싸우라는 '필사즉생(必死卽生·죽기를 각오하면 산다)'의 메시지를 던진 것은 업계 1위 자리를 탈환해 주류명가의 자존심을 찾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일부에서 박 회장이 '독기'를 품었다는 말도 나온다.

하이트진로는 간판 브랜드 '하이트'를 신제품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기존의 '크라운'을 버리고 하이트로 교체한 지 20년만이다. 13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는 현재 신제품 개발을 끝내고 브랜드명과 출시 시기를 놓고 고민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회장이 신제품을 내놓기로 한 것은 1993년 출시된 하이트 브랜드가 늙었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고 있기 때문이다. 2011년 말 15년이나 수성해오던 1위 자리를 경쟁회사인 OB맥주에게 내줬고 시장점유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점유율이 40% 아래까지 떨어진 것으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일부 주점에서 '하이트는 찾는 사람이 없어 아예 들여놓지 않는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박 회장의 하이트에 대한 애착은 남다르다. 1993년 하이트맥주 출시를 앞두고 박 회장은 이사회의 반대에 부딪쳤다. 박 회장은 크라운이라는 이름을 버려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지만, 이사회는 크라운이라는 이름을 고수했다. 우여곡절 끝에 이사회는 '크라운 하이트'로 결정했다. 하지만 박 회장은 이를 따르지 않았다. 대신 실패할 경우 모든 책임을 지겠다는 각오로 이사회가 모르게 하이트라는 이름으로 신제품을 출시했다. 이후 하이트는 대성공을 거뒀다.

자신이 만든 간판 브랜드 하이트를 다시 바꾼다는 것은 그만큼 박 회장이 지금의 상황을 위기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박 회장은 승부사로 통한다. 그는 조선맥주 창업주인 고 박경복 명예회장의 둘째 아들로 1991년 사장으로 취임했다. 취임 당시 조선맥주는 시장점유율 20%, 부채비율 1600%로 회생가능성이 없는 부실회사였다.

취임 2년 뒤 박 회장은 하이트맥주를 시장에 선보였다. 하이트 맥주는 1996년 1위로 올라선다. 1998년 사명을 아예 하이트맥주로 변경하고 2005년 파격적 가격으로 진로소주를 인수했다.

박 회장은 진로 인수 당시 경쟁자를 따돌리기 위해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입찰금액을 써 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의 승부사적 면모가 잘 드러나는 일화다.

전문가들은 박 회장이 당분간 내부 마케팅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둘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2005년 진로 인수 이후 '향후 5년간 통합 영업을 금지한다'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인수조건에 따라 통합영업을 하지 못했다. 제한이 풀리고 지금까지는 서로 다른 두 기업의 통합 과정에서 과도기를 겪었다. 적응을 끝낸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통합영업망을 강화하기로 했다.

박 회장은 직원들에게 "매 순간 마지막이라는 의식을 갖고 끝장정신으로 현재의 위기를 이겨내자"고 강조한다. 요즘 만나는 임직원들에게 "회사 이름을 바꿀 때의 각오를 되살려 다시 뛰자"고 역설하고 있다.
 

최신기사

국정기획위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편입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 다양한 방안 검토"
정부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AI정책 컨트롤타워로 강화하는 입법 예고
경찰-식약처, 윤활유 의혹 SPC삼립 시화공장 15일 합동점검, 5월 끼임 사망사고 공장
LG전자 중국 스카이워스·오쿠마와 유럽 중저가 가전 협력키로, 기획·설계부터 공동작업
경제계 "노란봉투법 개정, 노사협의 우선해야", 민주당 "합리적 대안 마련"
현대그룹 '연지동 사옥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볼트자산운용 선정, 매각 후 재임대해 사..
SK증권 "이제 적자 넷마블은 잊어줘, IP 활용도 레벨업"
대신증권 "영원무역 골치덩어리 스캇, 올해 적자를 벗어나기 힘들다"
미래에셋 "하이브 멀리서 보면 희극, 장기적 사업 기대감"
대신증권 "한국콜마 다가온 성수기, 하반기 미국 2공장 본격 가동"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