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애초 6월30일까지 포스코에너지의 석탄화력발전소 공사계획 인허가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지만 행정절차 등의 문제로 인허가 기한을 6개월 연장했다.
하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인허가를 내줄지는 미지수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탈석탄 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 포스코에너지를 비롯해 SK가스 등 석탄화력발전소를 지으려던 회사들이 계획을 수정하거나 철회해야할 상황에 놓인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도 문 대통령의 정책 기조에 맞춰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을 중단하거나 석탄화력발전소를 LNG발전소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주력사업인 LNG발전사업에 더해 신사업으로 석탄화력발전사업을 키우려고 했다. 이에 따라 삼척 석탄화력발전소를 짓는 데 모두 4조5천억 원에 이르는 막대한 금액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투자금액은 2016년 기준으로 포스코에너지 영업이익의 70배 수준이다.
2014년 삼척 석탄화력발전소 사업권을 얻게 된 이후 현재까지 법인설립, 설계, 환경영향평가 등에 모두 5568억 원을 썼다. 석탄화력발전소를 짓지 못하면 이미 투자한 금액에 더해 부지 복구비용으로 700억 원을 써야 한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인허가에 필요한 모든 자료를 제출했는데도 산업통상자원부가 특별한 이유없이 인허가 기한을 연장한 것”이라며 “LNG발전소로 전환하는 일도 불가능해서 삼척 석탄화력발전소 건립 여부는 전적으로 정부에 달린 일”이라고 말했다.
포스코에너지가 문 대통령의 친환경에너지정책에 발목이 잡힌 반면 포스코ICT, 포스코ESM, 포스코켐텍 등은 친환경차, 4차산업혁명정책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돼 포스코그룹 계열사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포스코ICT는 친환경차 보급과 4차산업혁명 정책으로 날개를 달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ICT는 국내 최대 민간 전기차 충전소 사업자이자 포스코그룹의 스마트화사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계열사로 꼽힌다.
벙부는 2020년까지 전기차 35만 대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국토교통부는 500가구 이상의 아파트 단지에 전기차 충전을 위한 콘센트 설치를 의무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주택법 개정안을 10일 입법예고했다.
문 대통령은 4차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해 스마트시티 사업을 육성할 뜻도 밝혔다.
그는 8월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핵심정책토의 모두발언에서 “세 부처가 협력해서 해볼 만한 사업이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이라며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문재인 정부의 야심찬 프로젝트로 추진해도 좋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관계 부처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포스코엠ESM과 포스코켐텍도 친환경차 보급정책의 수혜를 볼 수 있다. 포스코EMS와 포스코켐텍은 각각 2차전기용 양극재와 음극재를 생산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2020년까지 양극재사업에 3천억 원을 추가로 투자하는 계획을 세웠다. 포스코켐텍은 2016년 4호기 생산라인을 준공하면서 연간 6천 톤의 2차전지 음극재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고 2017년 들어 5호기를 증설하기로 결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