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메신저 ‘라인’을 기반으로 하반기에 실적이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창영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8일 “네이버의 핵심 성장동력은 여전히 라인”이라며 “라인은 하반기에 광고, 게임, 콘텐츠 등의 매출 성장률이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네이버, 라인의 탄탄한 일본 입지 덕에 앞으로 실적 늘어]() 
 
네이버는 올해 매출 4조6883억 원, 영업이익 1조2504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16.5%, 영업이익은 13.5% 늘어나는 것이다.
특히 일본 스마트폰 메신저시장에서 점유율 1위인 라인을 주목해야 한다고 이 연구원은 봤다.
네이버는 라인을 플랫폼 삼아 광고와 캐릭터, 게임 등 다양한 사업으로 매출을 내고 있다. 네이버는 라인사업을 분사해 일본에 자회사 ‘라인’을 세웠다. 네이버는 라인의 지분 79.8%를 들고 있어 라인의 실적은 네이버의 연결실적에 반영된다.
라인은 특히 모바일 광고를 기반으로 고성장을 하고 있다. 라인의 올해 상반기 광고매출은 3461억 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39% 늘어났다.
라인의 주무대인 일본은 모바일광고 시장의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말 기준으로 일본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59%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일본의 광고시장은 국내보다 4배가량 큰 46조 원에 이르지만 일본 모바일광고시장은 국내보다 2.5배 큰 5조2천억 원 수준에 그친다.
이 연구원은 “라인은 광고방식이 다양해지고 있다”며 “광고부문에서 성장성이 여전히 충분하다”고 파악했다.
라인은 게임사업도 강화하고 있다. 라인은 7월 게임 퍼블리싱 사업을 전문화하기 위해 자회사 ‘라인게임즈’를 설립했다.
이 연구원은 “라인의 게임은 일본 내 최대 모바일게임 플랫폼”이라며 “대형 흥행게임 출시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바라봤다.
네이버가 4분기에 정식 출시하는 인공지능(AI)스피커 ‘웨이브’와 라인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웨이브는 현재 한국과 일본에서 실시한 사전예약에서 모두 완판됐다.
이 연구원은 “일본의 경우 아직 인공지능 스피커시장을 선점한 사업자가 아직 없다”며 “음성전송이 가능한 라인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접점과 활용도가 증가하게 되면 초기 선점의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