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Who
KoreaWho
정치·사회  정치

삼성전자서비스센터에서 발암물질 검출

김디모데 기자 Timothy@businesspost.co.kr 2014-10-21 12:17:1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삼성전자서비스센터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삼성전자서비스센터는 남녀노소가 드나드는 곳인 만큼 환경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은수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1일 2010년 삼성전자서비스 162개 센터에서 실시한 자체 작업환경측정 결과 발암물질인 TCE와 납, 생식동성 유발물질인 톨루엔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서비스센터에서 발암물질 검출  
▲ 은수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또 삼성전자서비스센터에서 노말헥산과 이소프로필알콜, 디클로로에틸렌도 검출됐다. 노말헥산과 이소프로필알콜, 디클로로에틸렌은 2005년 태국 이주노동자들의 ‘앉은뱅이병’ 발병원인으로 지목된 물질이다.

삼성전자서비스는 조사결과에 따라 발암물질 검출량이 유해기준치 미만이지만 모든 물질을 전량 폐기하도록 지시했다.

그러나 IPA와 땜납의 사용은 허용됐다. 그 결과 서비스센터에서 2010년까지 전자기판세척제로 TCE를 사용했으나 지금은 IPA를 사용하고 있다.

또 납땜 수리시 유연납 대신 무연납을 사용하도록 했으나 최근까지도 실제 현장에서 유연납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연납은 인체에 유해한 납이 아닌 은이 들어가 있다.

은수미 의원은 “전자제품 서비스센터는 작업자뿐 아니라 노인과 어린이들까지 드나드는 곳”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서비스센터 환경개선에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와 삼성노동인권지킴이는 기자회견을 열어 삼성전자서비스 노동자들의 작업환경 개선을 요구했다. 이들은 삼성전자서비스 동대전센타에서 근무한 직원이 루게릭병에 걸린 게 유해한 작업환경 때문이라며 산업재해 인정을 신청했다.

라두식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 부지회장은 “삼성전자서비스에서 일하면서 안전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며 “내근직 노동자들은 환기시설도 없는 곳에서 유해물질을 흡입하며 일한다”고 주장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

최신기사

현대차증권 여의도 본사 빌딩 사기로, 코람코자산운용에 우선매수권 행사
한양증권 작년 순이익 394억으로 12% 늘어, 3년 연속 두 자릿수 증가
MBK 김병주 국회 홈플러스 질의 불출석 통보, "경영에 관여하고 있지 않아"
국토부 "올해와 내년 서울 아파트 공급 충분", LH 신축매입 물량도 확대
이재근 KB국민은행서 퇴직금 포함 보수 26억 받아, 정문철 11억 김영기 9억
기아 자사주 350만 주 장내매수로 취득 결정, 올해 3분기 안에 모두 소각
휴젤 신임 대표집행임원에 박철민 선임, 운영총괄에서 승진
DL그룹 회장 이해욱 DL케미칼서 작년 보수 20억 받아, 부회장 김종현 15.7억
정용진 때마침 이마트 공격적 출점 전략, 홈플러스 사태에 실적 반등 기회 잡아
임재택 다울투자증권 안 가고 한양증권 남기로, "M&A 관련 변수 검토 결과"
koreawho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