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장 직속으로 인공지능(AI)사업 총괄조직을 만들었다. 책임자로는 이상호 SK플래닛 최고기술책임자(CTO)을 임명했다.
SK텔레콤은 27일 4차산업혁명과 AI 등 미래핵심사업과 기술연구조직을 강화하는 방향의 조직개편을 실시했다.
|
![박정호, SK텔레콤 인공지능사업 총괄조직 신설]() |
|
▲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
우선 사장 직속으로 ‘AI사업단’을 새로 만들었다. AI사업단은 SK텔레콤의 전사적 인공지능 역량을 집결한 조직으로 기술 확보와 서비스 기획개발, 사업 확대 등을 총괄한다.
이번 개편을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인공지능 사업을 추진할 수 있고 인공지능과 연계한 자율주행차, 인공지능 비서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한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핵심영역에 집중하기 위해 우리가 보유한 모든 힘을 하나로 결집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판단했으며 앞으로도 사업성공을 위한 변화를 과감하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AI사업단장은 이상호 SK플래닛 CTO가 맡는다.
기존 AI기술 연구조직은 AI사업단 산하에 AI기술1본부, 2본부로 확대돼 재편된다. AI기술1본부장은 박명순 미래기술원장, AI기술2본부장은 이현아 SK플래닛 컨버세이셔널커머스 본부장이 선임됐다.
SK텔레콤은 인공지능 외에도 사물인터넷(IoT), 미디어 분야에서 기술협력 체계도 강화한다.
정보통신기술(ICT) 전반의 기술역량 강화, 관계사와의 기술 시너지를 모색하기 위해 ‘ICT기술총괄’, 차세대 미디어기술 확보를 위해 종합기술원 산하 미디어기술원을 신설한다.
|
![박정호, SK텔레콤 인공지능사업 총괄조직 신설]() |
|
▲ 이상호 SK텔레콤 AI사업단장. |
이호수 SKC&C DT총괄이 ICT기술총괄을 맡는다. 미디어기술원장은 종합기술원장을 맡고 있는 최진성 SK텔레콤 CTO가 겸임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으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미디어 등 미래핵심사업에 집중하고 ICT분야 패러다임의 빠른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실행할 수 있는 조직구조를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고객중심경영실을 CEO 직속으로 편제해 고객경영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T전화 등을 담당하는 Comm.플랫폼사업본부는 서비스부문 산하로 편제해 이동통신사업과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고객밀착서비스 출시도 확대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