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텔레콤은 글로벌 오픈랜 표준화 기구 ‘O-RAN 얼라이언스’에서 무선망 데이터 수집 고도화 기술 ‘선별 측정(Filtered Measurements·FILM)’에 대한 기술 문서를 새롭게 발간하는 등 표준화 제정을 주도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O-RAN 얼라이언스는 2018년 2월 설립된 글로벌 오픈랜·표준화 단체로,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엔비디아 등 약 300여 개 통신 장비 제조사와 연구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회원사로 참여해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2024년에는 한국 기업 최초로 표준 회의를 주최했다.
▲ 29일 SK텔레콤은 글로벌 오픈랜 표준화 기구 ‘O-RAN 얼라이언스’에서 무선망 데이터 수집 고도화 기술 ‘선별 측정’에 대한 기술 문서를 새롭게 발간하는 등 표준화 제정을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 SK텔레콤 >
SK텔레콤은 O-RAN얼라이언스 홈페이지를 통해 FILM 기술 문서를 발간했다. FILM은 인공지능(AI)이 네트워크 품질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필요한 통신 품질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수집하는 솔루션이다.
기존에는 망 품질을 분석할 경우, 전체 단말의 평균 성능 수치를 기반으로 분석했지만, FILM을 적용하면 신호 세기나 위치 등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단말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품질 분석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목적에 맞게 확보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는 학습과 추론을 수행해 네트워크 품질을 한층 효과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또 FILM은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제조사 장비가 함께 구성된 환경에서도 일관된 형식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돼, AI가 제조사 구분 없이 동일한 형태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SK텔레콤은 AI 기반 네트워크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정확하고 규격화된 데이터 수집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2024년 2월 O-RAN 얼라이언스에 FILM을 신규 표준화 피처(Feature)로 제안했다. 피처는 O-RAN 얼라이언스 내 여러 워킹 그룹에서 표준화를 논의하는 기술을 말한다.
같은 해 8월,FILM이 O-RAN 얼라이언스의 피처로 승인된 이후, SK텔레콤은 표준화 책임자로 참여해 13개 글로벌 통신사 및 장비 제조사와 함께 FILM의 활용 사례와 요구사항을 정리한 기술 문서를 완성했다. 이는 국내 통신사가 O-RAN 얼라이언스에서 피처 단위의 표준화 작업을 주도한 첫 사례다.
SK텔레콤은 오픈랜을 이동통신과 AI의 결합인 ‘네트워크 AI’ 실현의 핵심으로 보고, AI를 활용한 네트워크 품질 고도화와 운용 효율화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2024년 AI를 활용한 기지국 파라미터 최적화 기술을,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에서는 AI 기지국의 성능 저하 없이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산 자원 관리 기술을 공개했으며, 올해 4월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의 상용 환경 실증도 성공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