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2일 에쓰오일 목표주가를 기존 7만8천 원에서 7만4천 원으로 낮춰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전날 에쓰오일 주가는 6만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 연구원은 “예상보다 화학 스프레드(판매가와 원가의 차이)가 부진하고 정제마진 상승세가 더딘 점을 반영해 실적 전망치를 낮췄다”며 “다만 2026년 영업이익은 정제마진 추가 개선과 유가하락폭 둔화에 따라 재고평가손실 감소 등을 토대로 큰 폭으로 개선될 것이다”고 말했다.
글로벌 전반적으로 정유사 수익성에 직결되는 정제마진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아시아 정제마진은 다른 지역보다는 오름세가 더디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만큼 에쓰오일 실적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셈이다.
최 연구원은 “2024년 말부터 정제마진은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며 “그러나 아시아 정제마진은 중국 수요 부진 영향으로 기타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중국 정부가 최근 수요와 공급 조절에 착수했다는 점은 에쓰오일에 긍정적 요소로 꼽혔다.
최 연구원은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전기차 보급에 따른 연료유 수요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석유제품 생산을 줄이고 화학제품 생산을 늘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며 “실제로 중국 정유사의 생산 감축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시아 지역내 수요와 공급 불균형은 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며 아시아 정제마진도 완만한 상승 흐름을 보일 것이다”고 덧붙였다.
에쓰오일은 3분기 연결 매출 8조2310억 원, 영업이익 2632억 원을 거두며 2분기와 비교해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됐다. 영업이익률은 3.2%로 시장예상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됐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