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KT와 LG유플러스의 개인정보 유출 의혹에 대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법이 허용하는 사실관계 조사를 요청했다고 4일 밝혔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두 통신사를 합치면 피해자가 수천만 명에 이를 수도 있는 상황에서, 정보 유출 가능성을 명확히 밝히지 않고 시간을 끌고 있는 것은 다수의 국민 불안을 방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4일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KT와 LG유플러스의 개인정보 유출 의혹에 대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법이 허용하는 사실관계 조사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
피해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면 KT·LG유플러스 가입자들에게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발생할 위험도 그만큼 커질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특히 LG유플러스는 지난 2018년과 2023년에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은폐하거나 지연신고 한 전례가 있다고 꼬집었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 측은 "당시에도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통보 이후에야 뒤늦게 유출 사실을 알리고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며 "이전과 동일한 은폐 패턴을 또다시 반복하는 것은 아닌지 강한 우려와 함께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2일 국회 과방위 회의에서는 KT가 일부 서버를 파기한 정황을 과기정통부 차관이 직접 인정하기도 했다"며 "조사 결과에 따라 단순한 관리 부실을 넘어 침해 사실 은폐와 증거 인멸에 해당할 수도 있는 중대한 사안이다"고 덧붙였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