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벡스코에서 8월27일 열린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포스코그룹 통합 전시관을 관람객들이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호주 환경당국이 포스코의 서호주 ‘녹색철강’ 프로젝트를 조건부로 승인했다.
청정수소를 활용한 철강 생산은 아직 상업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 아래 초기 단계에서는 메탄가스 사용을 허용한 것이다.
서호주 환경보호청(EPA)은 건설할 제철소에서 메탄을 환원제로 활용하는 계획을 승인했다고 호주매체 파이낸셜리뷰가 8월3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EPA는 호주에서 재생 수소를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아직 어렵다는 점을 메탄 사용 승인의 이유로 꼽았다.
포스코가 현지에서 수소를 수급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질 때까지 온실가스인 메탄을 사용해 철강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결정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당국은 “100% 재생수소를 사용해야 이상적인 국제 기준에 부합하지만 현재 호주에서는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수소 공급이 불가능하다”며 메탄 사용 불가피성을 인정했다.
포스코는 서호주(WA)주 필바라 지역 헤드랜드항구 인근 부다리 지역에 열간압축환원철(HBI)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2028년에 건설을 시작해 2031년부터 공장을 가동하겠다는 목표를 두고 있다. 2022년 말에 서호주 정부로부터 부다리 전략산업단지 부지 임대 승인도 받았다.
여기서 열간압축환원철을 만들 때 수소를 환원제로 도입하겠다는 방침인데 현지 여건상 일단 메탄부터 쓰겠다는 방침으로 보인다.
환원제는 철광석처럼 산소와 결합된 금속에서 산소를 떼어내 순수한 금속을 얻을 때 사용하는 물질이다.
포스코가 메탄 사용으로 매년 110만 톤 이상의 온실가스를 배출해 호주 내 상위 220개 배출원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라고 파이낸셜리뷰는 전망했다.
이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가진 호주 정부의 목표 달성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그러나 호주 환경당국은 포스코의 열간압축환원철 생산 프로젝트가 넓게 보면 온실가스 감축에 보탬이 돼 이를 승인했다고 설명했다.
서호주 환경보호청은 “포스코 프로젝트는 철강 산업의 탈탄소화를 향한 전략적 단계”라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