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결함 배터리 교체하려면 3천만 원 내라는 테슬라코리아, 뿔난 소비자들 '공개 리콜' 요구 봇물
윤인선 기자 insun@businesspost.co.kr2025-08-26 15:32:00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 차량에서 배터리 충전 제한 관련 기술적 오류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국내 소비자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기술적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기차 배터리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는데, 테슬라코리아 측이 무상보증이 끝난 소비자들에 교체 비용으로 3천만 원 가량을 요구하면서다. 소비자들은 회사의 기술적 결함에 따른 교체인데도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며, 전면 무상 리콜을 실시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미국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의 일부 전기차 모델에서 배터리 충전이 제한되는 기술적 오류가 발생하면서 국내 소비자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테슬라 인천 서비스센터 전경. <테슬라코리아>
26일 관련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테슬라코리아가 ‘BMS_a079’ 배터리 오류 문제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로 해결해야 한다는 소비자 요청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테슬라 차량들에서 발견되는 'BMS_a079' 오류 코드는 배터리가 비정상적 고전압 충전으로 최대 충전 레벨을 50%로 제한하는 상태를 감지했다는 걸 의미한다.
주로 일본 파나소닉 하이니켈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배터리를 탑재한 2021년식 모델3와 모델Y에서 이같은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
테슬라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A씨는 “BMS_a079 오류가 발생한 이후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가 50㎞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며 “사실상 차량을 운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BMS_a079 오류는 현재 테슬라코리아 홈페이지에도 안내돼 있다. 테슬라코리아도 이 문제를 인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소비자 사이에선 테슬라코리아의 배터리 오류 문제 대응 방식과 서비스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테슬라코리아는 이 오류가 발생했을 때 필요한 조치로 '가능한 한 빨리 정비를 예약하라'고만 안내하고 있다.
이 기술적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선 배터리를 통째로 교체하는 것 외에는 현재로선 방법이 없다. 테슬라는 원통형 배터리를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차량을 제조하기 때문에 부분적 수리가 불가능하고, 배터리팩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테슬라코리아의 무상보증 조건은 모델Y 롱레인지 모델을 기준으로 8년 또는 19만2천㎞다. 하지만 BMS_a079 오류가 주로 발생하는 차량들이 4년 전 모델이다보니 차주들 가운데는 보증 주행 거리를 넘긴 사례도 적지 않다.
▲ 테슬라코리아는 홈페이지를 통해 일부 전기차 모델의 'BMS_a079' 배터리 오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가능한 빨리 정비를 예약하라고 안내하고 있다. <테슬라코리아 홈페이지 갈무리>
무상보증이 끝난 이후 배터리를 교체하려면 3천만 원 정도를 차주가 부담해야 한다. 소비자들은 “제조 상 결함 문제를 보증이 끝났다고 해서 차 한 대 값 수리비를 부담하라는 것이 말이 되냐”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무상보증으로 수리하는 차주들도 불만을 표출하고 있긴 마찬가지다. 이 오류가 발생했던 초기에는 배터리를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해 줬지만, 관련 사례가 점차 늘어나자 현재는 신품이 아닌 재생배터리로 교체하고 있기 때문이다.
재생배터리를 사용하면 새로운 배터리와 비교해 주행 가능거리가 10~15%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터리를 교체한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도 아니다. BMS_a079 오류로 배터리를 교체한 차주들 가운데는 수리 후에도 관련 오류가 발생하면서 배터리를 3번이나 교체한 사례도 있다.
이번 배터리 오류와 관련해 국토부 자동차 리콜센터에 접수된 것만 20건 이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 문제로 국토교통부와 테슬라코리아가 협의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토부 측은 현재 “해당 오류가 안전에 이상이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리콜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가 지금까지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할 수 있었던 이유는 소비자 사이에서 품질 측면에서 좋은 이미지가 형성됐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이번 사태가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장기화한다면 판매량에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