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정치·사회  정치

[여론조사꽃] 윤석열 정부의 체코원전 계약, '국익 포기 졸속계약' 54.7%

김대철 기자 dckim@businesspost.co.kr 2025-08-25 10:39:2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국민 절반 이상은 윤석열 정부가 미국 원전업체 웨스팅하우스와 맺은 계약이 국익을 포기한 잘못된 계약이라고 인식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꽃이 25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정부가 웨스팅하우스와 맺은 원전 계약에 대한 의견을 물었더니 ‘국익을 포기한 졸속 계약이다’(졸속 계약)가 54.7%, ‘수출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불가피한 선택)은 30.8%로 집계됐다. ‘잘 모름’은 14.5%였다.
 
[여론조사꽃] 윤석열 정부의 체코원전 계약, '국익 포기 졸속계약' 54.7%
▲ 여론조사꽃이 25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정부가 체코 원전 수주 과정에서 웨스팅하우스와 맺은 계약을 두고 '국익을 포기한 졸속 계약이다'라는 응답이 54.7%로 집계됐다. <여론조사꽃>

‘졸속 계약’과 ‘불가피한 선택’의 차이는 23.9%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체코 원전 수주 과정에서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비밀 계약을 체결했는데 우리나라가 원전 1기를 수출할 때마다 웨스팅하우스에 약 9천억 원 규모의 물품·용역 구매 계약을 맺는 것은 물론 약 2400억 원의 기술 사용료를 지급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한국 기업이 차세대 소형모듈원전(SMR)을 독자적으로 개발하더라도 웨스팅하우스의 기술 자립 검증을 거쳐야 하는 ‘독소 조항’까지 조항까지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지역별로 대구·경북을 제외한 다른 모든 지역에서 ‘졸속 계약’이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대구·경북은 ‘불가피한 선택’이란 응답이 49.0%로 ‘졸속 계약’(35.1%)를 두 자릿수 이상 앞섰다.

다른 지역의 ‘졸속 계약’ 응답 비율은 광주·전라 68.2%, 인천·경기 59.1%, 대전·세종·충청 54.7%, 부산·울산·경남 52.9%, 서울 52.1% 등으로 50%를 넘겼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을 뺀 다른 모든 연령층에서 ‘졸속 계약’이 ‘불가피한 선택’보다 더 높았다. 보수 핵심지지층인 70세 이상은 ‘불가피한 선택’이 42.0%, ‘졸속 계약’ 35.0%였다.

‘졸속 계약’은 40대에서 76.2%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50대(71.1%), 30대(49.7%), 60대(48.1%), 18~29세(41.9%) 순이었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에서 ‘졸속 계약’이란 응답이 59.3%로 ‘불가피한 선택’(28.2%)의 두 배 이상이었다. 보수층에서는 ‘불가피한 선택’이 57.7%였던 반면 진보층에서는 ‘졸속 계약’이 82.1%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의 이념성향별 응답 인원은 보수 254명, 중도 419명, 진보 260명으로 진보가 보수보다 6명 더 많았다. 모름·무응답은 72명이었다.

지지정당별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83.2%가 ‘졸속 계약’이라 응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67.7%는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꽃 자체조사로 22일과 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는 가상번호를 활용한 무선·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2025년 7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셀가중)가 적용됐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대철 기자

최신기사

엔비디아 AI 반도체 수출 재개에 중국언론 의기양양, "미국이 위협 느꼈다"
[25일 오!정말] 민주당 김용민 "한덕수, '내란 중요 임무 종사'로 죄목 바뀔 수도"
유진투자 "오스코텍 변화의 바람, 레이저티닙 로열티로 2028년 최대 1500억 수령"
중국 둥펑자동차 주가 하루새 69% 급등, 전기차 자회사로 상장 전환 소식에
DS투자 "코스맥스엔비티 내년 이익 턴어라운드 본격화, 올해 실적 개선 지연"
정부 '2035 온실가스 감축목표' 발표 앞두고 기후단체 불안감 확산, "비공개 진행으..
비트코인 시세 하방압력 커져, 채굴업체 매도 늘고 ETF 자금도 유출 확대
내란 특검 박성재·심우정 동시 압수수색, "내란 사태와 관련"
대기업 계열사 인수·매각 활발, 최근 3개월간 '61개 편입'에 '73개 제외'
엔비디아 실적 발표 미국 증시에 '마지막 시험대', 중국 사업 리스크가 변수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