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20일 기준 국내 ETF시장에서 2조88억 원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12일 사상 처음으로 순자산총액 2조 원을 넘긴 뒤 계속해서 2조 원대 자산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1년 전만 해도 순자산총액이 6250억 원, 2년 전엔 1803억 원에 그쳤다는 점을 고려하면 1년 사이 3배, 2년 사이 10배 넘게 성장했다.
ETF는 크게 추종 지수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가는 패시브와 운용역의 판단을 더해 추종 지수 이상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액티브 상품으로 나뉜다.
국내 주식형 액티브 ETF시장은 규제에 가로 막혀 패시브보다 18년가량 늦은 2020년 하반기 개화했다. 2년 전인 2023년 8월 만 해도 전체 시장 규모가 2조 원대에 머물렀는데 이제는 타임폴리오자산운용 홀로 운용자산 2조 원대에 이른 것이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국내 액티브 ETF 전문 운용사 가운데 가장 많은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운용자산이 1조 원 넘게 불었는데 이에 따라 경쟁사와 차이도 더 크게 벌어졌다.
20일 기준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의 순자산총액은 5142억 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 3099억 원에서 60% 넘게 증가했지만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성장세에 미치지 못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액티브 상품을 고집하는 액티브 ETF 전문 운용사다. 액티브의 장점을 극대화한 높은 수익률이 강점으로 꼽힌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현재 국내투자 7개, 해외투자 9개 등 모두 16개의 액티브 ETF를 운용하고 있는데 16개 상품 모두 연초 혹은 상장일 이후 전날까지 플러스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대다수 상품이 추종지수 대비 초과 성과를 내고 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상품 중 운용규모가 가장 큰 TIMEFOLIO 글로벌AI인공지능액티브 ETF만 봐도 2023년 5월 상장 이후 전날까지 추종지수 대비 106.56%포인트, 최근 1년 동안 23.88%포인트 높은 수익률을 거뒀다.
TIMEFOLIO 글로벌AI인공지능액티브 ETF는 지난해 약 90% 상승하며 액티브 ETF 수익률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올해 들어서도 10% 넘게 오르며 단단한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상품의 높은 수익률은 일반투자자 유입으로 이어지고 있다.
개인투자자는 올해 들어 전날까지 TIMEFOLIO 글로벌AI인공지능액티브를 1543억 원어치 순매수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에는 순자산총액이 1천억 원이 넘는 상품이 TIMEFOLIO 글로벌AI인공지능액티브를 포함해 5개가 있는데 개인투자자는 나머지 4개 상품도 올해 모두 순매수했다. 순매수 규모도 1466억 원(4개 합산)으로 적지 않다.
이같은 변화를 확인해준 게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의 재산공개다.
이억원 후보자는 국내와 해외 개별주식, ETF 등에 다양하게 투자하며 전문투자자 못지않은 투자 포트폴리오를 보여줬는데 ETF 가운데 TIMEFOLIO에 가장 많은 투자를 했다.
이 후보자는 국내 ETF에 4천만 원 가량을 투자했는데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1117만 원)’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TIMEFOLIO 글로벌우주테크&방산액티브(998만 원)’가 뒤를 이었다.
이 후보자는 그밖에 ‘SOL 조선TOP3플러스(991만 원)’와 ‘KODEX 레버리지(891만 원)’를 선택했다.
KODEX는 국내 1등 ETF 운용사인 삼성자산운용, SOL은 국내 ETF시장 신흥강자로 떠오르고 있는 신한자산운용 상품이다.
▲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국내 ETF 브랜드 가운데 TIMEFOLIO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후보자는 세계 최대 비트코인 보유 상장사 '스트래티지', 지수상승률 2배에 베팅하는 'KODEX 레버리지'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했다. 사진은 이 후보자가 14일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준비단 사무실에 첫 출근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TIMEFOLIO가 이같이 쟁쟁한 브랜드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이 후보자의 최선호 ETF 브랜드로 선택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 셈이다.
이 후보자가 투자한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와 TIMEFOLIO 글로벌우주테크&방산액티브는 각각 2023년 8월과 2024년 4월 나온 상품이다. 올해 들어 전날까지 각각 15.15%와 62.57% 올랐고 올해 지수 대비 초과 성과도 각각 9.05%포인트와 19.34%포인트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