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현대제철, 글로벌 기업 5곳과 손잡고 탄소포집·활용·저장 공동연구 나서 

신재희 기자 JaeheeShin@businesspost.co.kr 2025-08-11 16:38:0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현대제철, 글로벌 기업 5곳과 손잡고 탄소포집·활용·저장 공동연구 나서 
▲ (왼쪽부터)  미카엘 호버스 BHP 그룹 영업·마케팅 담당,  아르빈드 보단커르 AM/NS 인디아 지속가능경영 총괄, 앨리스 플레셔 쉐브론 사업개발 담당 부사장, 김용희 현대제철 공정연구센터장 상무, 프라보다 아차르야 JSW스틸 지속가능경영 담당, 켄 야스하라 미쓰이상사 탄소중립사업 총괄, 얀 곽 햇치 기후변화 부문 총괄 등이 지난 7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탄소포집·활용·저장 허브스터디’ 본격화를 위한 공동 연구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제철>
[비즈니스포스트] 현대제철이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허브 발굴을 위한 공동 연구에 나섰다.

탄소포집·활용·저장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거나 지하에 영구 저장함으로써 대기 중으로 이산화탄소 방출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현대제철은 현지시각  7일 싱가포르에서 호주 BHP, 쉐브론, 일본 미쓰이상사, 인도 JSW스틸, AM/NS 인디아(아르셀로미탈과 일본제철의 합작사) 등 5개사와 컨소시엄을 꾸리고 ‘탄소포집·활용·저장 허브스터디’ 본격화를 위한 공동 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탄소포집·활용·저장 허브스터디'는 여러 산업 시설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한 곳에 모아 압축·처리하는 핵심 거점(Hub)을 발굴하는 연구과제다. 

지상 허브로 모인 이산화탄소는 최종적으로 해양 저장소로 옮겨져 지하에 보관된다.

참여기업들은 18개월의 연구를 통해 동남아, 호주 북부 등에서 허브 후보군을 선정하고 허브 건설의 사업화 가능성을 모색한다.

향후 허브 운영은 글로벌 엔지니어링기업 햇치(Hatch)가 맡는다.

이번 협약 체결로 현대제철은 아시아 최초로 산업계가 주도하는 탄소포집·활용·저장 연구에 동참하게 됐다.

현대제철은 그동안 해외 산업체들과 연계해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방안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요한 수단 가운데 하나로 검토해왔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이번 컨소시엄은 '탄소포집·활용·저장을 포함한 다양한 탄소저감 기술 개발을 시도하고 탄소중립의 가능성을 확장할 좋은 기회"라며 "글로벌 기업과 협업으로 철강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것"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최신기사

대통령실 "광복절 사면 '국민통합' 시대 요구, 정치 복원 계기 되길"
5천만 원 이하 연체채무 연말까지 갚으면 '신용 사면', 지원대상 324만 명
하나증권 "동원산업 2분기 식품이 견인한 호실적, 주주환원 확대"
하나증권 "KT&G 해외 중심 실적 개선 지속, 해외 비중 2027년 50%로"
교보증권 "한국콜마 인디 브랜드 매출 견조, 스킨케어 브랜드 수출 기대"
코스메카코리아 2분기 영업이익 230억 내 27% 늘어, "색조 매출 비중 과반 넘어서"
DL건설 대표 강윤호 포함 모든 임원 및 팀장 사표 제출, 공사현장 무기한 중지
한국공항공사 한화오션과 함정용 항행장비 공급 계약 체결, "해외 진출 발판"
여천NCC 자금부족 숨통 틔여, 원료공급 계약 놓고 'DL vs 한화' 이견은 갈수록 심화
교보증권 "달바글로벌 기대감 비해 2분기 실적 아쉬워, 방향성은 변함없어"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