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트럼프 정부가 '제2의 맨해튼 프로젝트'에 비유하는 원자력 발전 관련 행정명령 발표를 앞두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콘스텔레이션 에너지가 지분을 보유한 텍사스 남부 원자력 발전소 참고용 사진.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트럼프 정부가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을 위한 원자력 발전 활성화를 추진하는 행정명령을 곧 발표할 것이라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제2의 맨해튼 프로젝트’에 비견될 정도로 공격적이고 과감한 목표를 담을 것으로 예상된다.
로이터는 23일 내부 사정에 정통한 다수의 관계자 말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이르면 이날 중 원자력 에너지 산업 도약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원자력 발전소 신규 건설에 필요한 승인 절차를 간소화하고 연료 공급망 강화를 추진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첫날부터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미국의 전력 생산 증대와 전기요금 인하 등 공약을 내세웠다.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필요로 하는 인공지능 산업 발전으로 미국 전력 수요가 20년 만에 상승세로 전환하는 등 에너지 확충이 다급해졌다는 판단 때문이다.
로이터는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이 트럼프 정부 출범 직후부터 전력 발전 증가를 ‘제2의 맨해튼 프로젝트’와 같다고 강조해 왔다고 보도했다.
미국이 세계 2차대전 당시 맨해튼 프로젝트로 원자폭탄을 개발했던 것처럼 인공지능 시대에는 전력 생산 증가가 그만큼 중요한 의미를 띨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정부의 원자력 발전 활성화 행정명령은 결국 국가 차원의 원자력 기술 개발과 발전소 확충을 본격화하는 시발점이 될 수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번 행정명령에는 원자력 발전 연료인 우라늄 등을 중국과 러시아산 수입에 의존하지 않도록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하는 내용도 포함된다.
에너지부가 직접 대출과 보증을 통해 원전 건설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도록 장려하는 방침도 들어 있다.
다만 로이터는 트럼프 정부에서 최종적으로 발표하는 행정명령 내용은 현재 작성된 초안과 달라질 수 있다고 전했다.
로이터는 “원자력 에너지는 탄소 배출 감축을 주장하는 민주당과 재생에너지 대비 안정적 전력 공급원을 원하는 공화당 측에 모두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