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기후환경

국제연구진 "기후변화로 '임신 위험 폭염일' 5년 새 2배 증가", 한국 남부지방도 2배

손영호 기자 widsg@businesspost.co.kr 2025-05-14 14:03:5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국제연구진 "기후변화로 '임신 위험 폭염일' 5년 새 2배 증가", 한국 남부지방도 2배
▲ '임신위험 폭염일'이 지난 5년 동안 전 세계 지역별로 증가한 수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그림. 한국은 옅은 붉은색으로 채색돼 있으나 남부 지방은 옆나라 일본과 마찬가지로 기후변화 영향에 임신위험폭염일이 2배 이상 증가했다. <클라이밋센트럴>
[비즈니스포스트] 기후변화가 임산부 건강도 위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조산 위험을 키우는 폭염이 기후변화 영향에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국제 기후단체 '클라이밋센트럴'은 기후변화로 최근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임신위험 폭염일'이 약 2배 늘었다고 발표했다. 클라이밋센트럴은 전 세계 과학자와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이 모여 설립한 단체다.

임신위험 폭염일은 한 지역 일 최고기온이 역대 상위 5% 기온 기록을 넘어서는 날을 말한다. 기후변화로 커진 폭염 빈도를 신체 영향 측면에서 정량화하기 위해 클라이밋센트럴이 정립한 개념이다.

임산부의 폭염 노출이 조산과 부종, 호흡기질환, 장감염질환, 비뇨생식계통질환 등과 연관을 보인다는 의학계 연구에 착안해 개념을 정리했다.

클라이밋센트럴은 이번 분석을 위해 전 세계 국가, 해외영토, 속령 247곳의 2020~2024년 일 최고 기온을 집계했다. 그 뒤 집계한 자료를 인간이 기후변화를 일으키지 않은 상황을 가정한 기상 조건과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기후변화로 임신위험 폭염일이 연평균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 지역은 전체 247곳 가운데 222곳으로 약 90%에 달했다.

한국의 연평균 임신위험 폭염일은 29일로 파악됐다. 연구진은 이 가운데 10일이 기후변화 영향으로 증가한 것으로 봤다.

전체 평균으로 놓고 보면 임신위험 폭염일 발생 빈도가 약 34% 늘어난 셈이나 남부 지방만 따로 놓고 보면 이보다 월등히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한국 국내 조사 대상 지역 11곳 가운데 부산, 대구, 울산, 창원 등은 전체 임신위험 폭염일 가운데 약 50% 이상이 기후변화 영향에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기후변화 영향에 임신위험 폭염일이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서울, 수원, 인천 등 중부 지방 도시들은 대체로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임신위험 폭염일 증가세가 낮았으나 이들 지역 모두 연평균 30일이 넘어 남부 지방 지역들보다 위험일이 더 자주 발생했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 조산율은 2007년 5.2%였다가 2023년에 9.9%로 상승했다. 한 해 동안 태어나는 아이 10명 가운데 1명은 미숙아인 것이다.

클라이밋센트럴에 참여하고 있는 브루스 벡카 박사는 "오늘날 극심한 폭염은 전 세계 임산부에게 가장 시급한 위협 가운데 하나"라며 "화석연료 퇴출 등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은 지구를 위한 일일 뿐만 아니라 산모와 신생아를 보호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조치"라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

최신기사

브로드컴 오픈AI와 협력은 '신호탄'에 불과, "100억 달러 고객사는 다른 곳"
현대차 중국 맞춤형 전기차 '일렉시오' 출시 임박, 매년 신차 2~3대 출시 예정
글로벌 운용사 프랭클린템플턴 "신흥시장 투자 핵심은 한국, 다각화된 성장 동력 갖춰"
KT-팔란티어 한국서 최고경영자 회동, 금융·공공 분야 AI전환 사업 협력
HBM 포함 AI 메모리반도체 '전성기 초입' 예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청신호
KB증권 "두산에너빌리티 미국서 가스터빈 추가 수주 기대, 8기 이상 공급 협상"
삼성전자 3분기 '깜짝실적' 반도체 부활 신호탄, D램 구조적 업사이클 진입
영국 유명 경제학자 "기후투자는 21세기 유일한 성장기회, 화석연료는 자멸의 길"
중국 고션하이테크 전고체 배터리 시험생산 돌입, "한국 일본과 격차 좁혀"
iM증권 "LG에너지솔루션, 미국 ESS 시장 입지 확대로 실적 회복 전망"
Cjournal

댓글 (4)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
트럼프 가무시하고있는기후변화
미국연방정부외국오염수수료법 청정경쟁법 미의회통과되었나
아메리카기후동맹 50개주중 25개주참여 GDP55%인구60%
유럽연합 영국탄소국경세 2026년발효 그린딜법 2030년까지 30%복구 2050년까지 50%복구
신흥개도국
중국전국적배출권거래제 도입
   (2025-05-15 18:09:51)
보도성향?
ytn 더불어민주당?
연합뉴스국민의힘?
   (2025-05-15 17:59:02)
온실가스 감축
청정경쟁법
탄소국경세
   (2025-05-15 17:57:17)
보도성향?
KBS 국민의힘 mbc 더불어민주당
SBS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케이블
종편 티비조선국민의힘? 제이티비시 국민의힘?A 체널 국민의힘?
프레시안오마이뉴스경향 한겨례 정의당? 진보당?녹색당편?
조선일보 국민의힘?동아일보국민의힘?중앙일보 더불어민주당?
   (2025-05-15 17:5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