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DP한국위원회가 28일 '2024 CDP 한국 보고서' 발간을 앞두고 데이터를 선공개했다. 사진은 CDP한국위원회의 '2024 기후변화 대응 및 물 경영 우수기업 시상식' 안내 이미지.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
[비즈니스포스트] 국제 온실가스 정보 공개 플랫폼이 국내 기업들의 기후대응 수준을 평가해 공개했다.
CDP한국위원회 사무국을 맡고 있는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은 오는 30일 '2024 CDP 한국 보고서' 발간을 앞두고 국내 기업들의 기후대응 수준을 보여주는 핵심 데이터를 28일 선공개했다.
CDP는 2만4천 개가 넘는 전 세계 기업들이 참여하는 글로벌 환경정보 공개 플랫폼으로 최근에는 국제재무보고기준(IFRS) S2, 자연 관련 재무 정보 공시 태스크포스(TNFD) 등 국제 공시 기준을 이행하기 위한 실질적 도구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공급망을 포함해 865개 기업이 CDP에 참여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거버넌스 전문성, 온실가스 배출 구조, 기후전환 전략 등 주요 지표에 더해 재생에너지∙수자원∙생물다양성∙플라스틱 등 환경 전반의 대응 수준을 평가했다. 응답한 국내 기업 가운데 통합 질의서의 모든 항목에 응답하고 내용을 공개한 239개 기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국내 기업 가운데 87%가 중대한 기후 리스크를 식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 리스크는 기후변화로 인해 기업과 금융기관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말한다. 이를 식별하는 것이 기업 전략 수립의 첫 단계이자 국제 공시 기준의 핵심 요건에 해당한다.
국내 기업이 가장 많이 인식한 리스크 유형은 정책 리스크(탄소가격, 배출규제 등), 단기 물리적 리스크(태풍, 폭염 등), 시장 리스크, 장기 물리적 리스크(온도변화) 순이었다.
분석 대상인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스코프 1(직접 배출)과 스코프 2(간접 배출) 총량은 약 2억7500만 톤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87%는 국내 사업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코프 3(공급망 내 배출)는 스코프 1과 스코프 2 합계보다 약 8배 큰 21억7900만 톤으로 확인됐다.
스코프 3를 실제로 보고한 기업은 2023년 127개에서 지난해 158개로 약 24% 늘었다. 하지만 이는 전체 응답 기업 가운데 약 68%에 그쳤다.
CDP한국위원회는 산정방법의 복잡성, 협력사 정보 접근 어려움, 데이터 수집 난항 등을 겪고 있어 스코프 3를 보고하는 기업 비중이 느리게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다연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책임연구원은 "스코프 3는 전체 배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나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선별적으로만 보고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글로벌 고객사와 투자자들이 공급망 투명성과 협력사 감축 관리 체계를 갈수록 더 요구하는 만큼 기업은 밸류체인 전반의 감축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낮은 탄소 가격도 국내 기업들이 기후리스크에 대응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현재 국내 기업들의 내부 탄소 가격은 1이산화탄소환산톤당 1~10달러로 글로벌 기업들의 60~90달러와 비교해 수십 배의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DP한국위원회는 국내 배출권 거래제의 상대적으로 낮은 시장 가격이 반영된 결과라고 지적했다. 국내 배출권거래제도의 배출권 가격은 지난해 평균 1개당 약 6달러(약 8648원)에 그쳤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30년 기준 적정 탄소가격이 약 75달러(약 10만 원)는 돼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김정석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책임연구원은 "국내 기업들은 아직 기후 리스크를 비용으로 전환해 경영 전략에 반영하는 수준이 충분하지 않다"며 "정교한 탄소가격 설정과 적용 범위 확대, 그리고 재무 전략과의 통합적 연계를 조속히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