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자동차·부품

[시승기] 3년 만에 새 얼굴로 돌아온 '제네시스 GV70 전동화모델', 더 세련되고 안락해졌다

윤인선 기자 insun@businesspost.co.kr 2025-03-17 16:03:51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시승기] 3년 만에 새 얼굴로 돌아온 '제네시스 GV70 전동화모델', 더 세련되고 안락해졌다
▲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 정측면.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럭셔리와 스포츠(SUV), 스포츠와 전기차(EV)를 하나로 완성한 GV70 전동화모델을 선보인다.”

제네시스가 약 3년 만에 내놓은 GV70 전동화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을 홍보하면서 내세우고 있는 문구다.

제네시스가 설명하는대로 GV70 전동화모델이 새로운 조합을 완성했을지 지난 14일 직접 타봤다.

시승 차로는 GV70 전동화모델(7530만 원)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파노라마 선루프, 뱅앤올룹슨 사운드 시스템, 디지털 중앙 미러, 무드 큐레이터 등 옵션(1476만 원)이 들어간 9006만 원 짜리 차량이 제공됐다.

부분변경 모델인 만큼 외관은 이전 모델과 큰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새로운 형상의 크레스트(방패형) 그릴과 넓은 느낌을 주는 범퍼를 달았기 때문인지 더 고급스럽고 세련됐다는 느낌을 줬다.
 
[시승기] 3년 만에 새 얼굴로 돌아온 '제네시스 GV70 전동화모델', 더 세련되고 안락해졌다
▲ GV7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 실내. <비즈니스포스트>
실내에서도 제네시스만의 우아함과 고급스러움을 느낄 수 있었다. 도어트림 상단부에서 센터페시아로 이어지는 무드 램프와 은하수를 형상화한 도어 장식(가니시)이 야간 주행 시 은은함을 더했다.

클러스터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하나로 합친 27인치 통합형 와이드 디스플레이는 탁 트인 느낌을 줬다. 여러 정보를 표시할 때도 복잡하지 않고 정보를 인식하는 데 불편함이 없었다. 터치 타입 공조 조작계도 깔끔했다.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시동 버튼을 1회 누르자 전기는 사용 가능하고, 주행은 불가능한 ‘파워온’ 상태가 됐다. 이 상태에서는 냉난방 공조와 실내 V2L(전기차 배터리 전력을 외부로 끌어다 사용하는 것), 유틸리티 모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외관과 실내 디자인은 우아했지만, 주행을 시작하자 가장 먼저 ‘잘 나간다’는 느낌이 온몸을 감싼다. 차를 도로에 올린 뒤 가속페달을 밟을 때마다 미끄러지듯 치고나가는 민첩함에 감탄이 절로 나온다.

빠른 속도에서도 풍절음은 거의 들리지 않았고 전동화 모델의 장점인 정숙성을 잘 유지했다. 액티브 사운드 디자인을 켜자 내연기관차를 운전하는 듯한 엔진음을 경험할 수 있었다. 자칫 밋밋하게 느껴질 수 있는 전기차 주행에 재미를 더해줬다.

이번 모델에는 프리뷰 전자제어 서스펜션에 고속도로 바디 모션 제어(HBC)가 추가됐다. 고속도로 주행 보조 기능 사용 중 전방 차량으로 인한 급가속·급제동 상황에서 차체 움직임을 줄여주는 기능이다. 주행 보조 기능을 사용하는 중에도 편안한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시승기] 3년 만에 새 얼굴로 돌아온 '제네시스 GV70 전동화모델', 더 세련되고 안락해졌다
▲ GV7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 측면. <비즈니스포스트>
도시고속화 도로에서도 차체 흔들림이나 떨림은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졸음방지 도로 구간에서만 잠시 롤링을 경험했을 정도로 안정적 주행감을 제공했다.

한 번 조작으로 실내 조명·음악·향기 등을 최적화해 주는 '무드 큐레이터' 사양도 새롭게 추가됐다. 야간 주행에서 사용해보니 각 무드별로 색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뱅앤올룹슨 사운드 시스템도 만족스러웠다. 볼륨을 높이자 풍부하면서도 선명한 음질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었다.

발라드부터 댄스, 힙합, 재즈, 클래식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들어봤는데, 어떤 장르에서든 15개 스피커에서 만족스러운 음질의 음악이 흘러나왔다.

충전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든 것도 이번 모델이 가진 장점 가운데 하나다.

제네시스는 GV70 전동화 모델에 84kWh(킬로와트시) 용량의 4세대 배터리를 탑재했다.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는 기존 400㎞에서 423㎞로 늘었다. 복합전비는 1kWh당 4.5㎞다.

배터리 용량이 증가했음에도 350kW(킬로와트)급 초급속 충전기로 19분 만에 배터리 용량의 10%에서 80%까지 충전할 수 있다. 윤인선 기자

최신기사

비트코인 시세 14만 달러대로 상승 전망, 금값 신기록에 '디지털 금'도 주목
테슬라 중국 생산 전기차 출하량 감소세 뚜렷, "BYD 샤오미와 경쟁에 타격"
TSMC도 중국에 반도체 투자 제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대비 타격은 '미약'
북한 국무위원장 김정은,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서 시진핑·푸틴과 함께 등장
애플 AI '인재 유출' 가속화, 핵심 신사업인 로봇 기술 전문가도 메타로 이직
LG전자, '프리즈 서울 2025'서 올레드 TV로 박서보 화백 작품 재해석
현대글로비스 미국에서 '비자 사기' 혐의로 피소, 조지아 물류센터 고용 관련
트럼프 정부 환경보호청 소송 승소, 160억 달러 규모 보조금 철회 이행
미국 과학자 85명 에너지부 기후 보고서 공동비판, "기후변화에 관한 사실 왜곡"
NH투자 "현대건설 자회사 해외사업 비용 증가에 목표주가 하향, 원전 경쟁력은 여전"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